일제강점기 쌀 수탈 경로였던 '만경강 철교' 역사문화공간으로 새단장

김하늘 기자(=전주) 2025. 4. 4. 14:09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1928년 일제강점기 시절 건립돼 전주와 완주를 가로지르며 호남평야의 쌀을 일본으로 실어나르던 만경강 철교가 역사문화공간으로 새롭게 태어난다.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는 완주군과 함께 폐철교로 남아 있던 옛 만경강 철교를 활용해 '완주·전주 상생 철길 조성사업'을 본격 추진한다고 4일 밝혔다.

올해 조성 완료를 목표로 완주군은 철교 위 약 475m 길이 보행로를 설치하고 전주시는 철교 진입로인 화전동 일원(969-1번지)에 주차장과 도로 등 기반시설을 조성한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옛 만경강 폐철교 ⓒ전주시
1928년 일제강점기 시절 건립돼 전주와 완주를 가로지르며 호남평야의 쌀을 일본으로 실어나르던 만경강 철교가 역사문화공간으로 새롭게 태어난다.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는 완주군과 함께 폐철교로 남아 있던 옛 만경강 철교를 활용해 '완주·전주 상생 철길 조성사업'을 본격 추진한다고 4일 밝혔다.

이 사업은 전주시와 완주군, 전북자치도가 2023년 12월 체결한 '전주·완주 상생협력사업 협약(9차)'에 따른 공동 프로젝트로 총 40억 원 예산이 투입된다.

올해 조성 완료를 목표로 완주군은 철교 위 약 475m 길이 보행로를 설치하고 전주시는 철교 진입로인 화전동 일원(969-1번지)에 주차장과 도로 등 기반시설을 조성한다.

이를 통해 철교를 양방향에서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 보행자 중심 역사문화 체험 공간으로 꾸밀 계획이다.

현재 완주군 삼례읍에 위치한 철교는 총면적 2487㎡로 2011년 마지막 열차가 운행을 마친 뒤 폐쇄됐으며 2013년 국가등록문화재(제538호)로 지정돼 역사적 가치를 인정받았다.

시 관계자는 "이번 사업이 마무리되면 만경강을 가로지르는 철교의 접근성이 개선돼 더 많은 시민이 이곳을 찾을 것으로 예상된다"며 "완주군과의 상생과 협력을 바탕으로 다양한 사업을 추진해 혜택이 두 지역 주민들에게 돌아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김하늘 기자(=전주)(gksmf2423@naver.com)]

Copyright © 프레시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