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부모 등 취약·위기가족, 지난해 '가족센터'서 33만명 상담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여성가족부가 운영하는 '가족센터'에서 지난 한 해 33만명이 상담을 받았다.
여가부는 가족센터를 중심으로 사각지대에 놓인 취약·위기 가족을 발굴하고 가족 기능 회복에 적극 대응할 계획이다.
가족센터에서는 다문화가족, 1인 가구, 한부모가족 등 가족의 특성과 수요를 반영해 상담 및 사례관리, 교육 및 자원연계 등 맞춤형 가족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향후 제도의 사각지대에 놓인 위기 임산부, 조손가족 등도 가족센터를 중심으로 적극적으로 발굴해 지원하기로 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21일 도봉구 가족센터 찾아 현장 의견 청취
여성가족부가 운영하는 '가족센터'에서 지난 한 해 33만명이 상담을 받았다. 여가부는 가족센터를 중심으로 사각지대에 놓인 취약·위기 가족을 발굴하고 가족 기능 회복에 적극 대응할 계획이다.
21일 여가부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말 기준, 전국 244개 가족센터에서 가족 상담을 받은 인원은 총 32만9078명이었다.
가족센터에서는 다문화가족, 1인 가구, 한부모가족 등 가족의 특성과 수요를 반영해 상담 및 사례관리, 교육 및 자원연계 등 맞춤형 가족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지난해부터는 대상별로 운영되던 특화사업을 '취약·위기 가족 지원사업'으로 개편해 총 45만6759건의 사례관리와 1만5760건의 긴급위기지원을 처리했다. 향후 제도의 사각지대에 놓인 위기 임산부, 조손가족 등도 가족센터를 중심으로 적극적으로 발굴해 지원하기로 했다.
이날 여가부는 도봉구 가족센터를 찾아 가족 지원 서비스 운영 현황을 살피고 종사자를 격려한다. 도봉구 가족센터에서는 공동육아 나눔터, 다문화가족을 위한 이중언어 가족 환경 조성사업, 방문교육 등을 운영하고 있다. 이곳의 '돌봄 품앗이 지원 프로그램'은 지난해 우수 프로그램으로 선정돼 여가부 장관상을 받기도 했다.
김기남 여가부 기획조정실장은 "사회 환경 변화에 따라 가족 구성원의 다양한 욕구를 반영한 돌봄 지원, 가족 소통 지원 등 가족 지원 서비스를 차질 없이 안전하게 제공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면서 "취약·위기 가족을 포함한 다양한 가족들이 필요한 지원을 충분히 받을 수 있도록 가족 돌봄과 교육, 상담 및 문화프로그램 등 서비스 지원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오주연 기자 moon170@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자연산 새우 썼다던 백종원 덮죽…논란 일자 뒤늦게 수정 - 아시아경제
- "껌 씹은지 2분 내 수천 개 나온다"…美 연구진, 미세 플라스틱 연구 - 아시아경제
- 법 바뀐 줄 몰랐다가…美 여성, 1200억 복권 당첨금 못받을 판 - 아시아경제
- '연봉 3천' 야근없는 사무직 vs '연봉 7천' 교대근무 생산직… Z세대 선택은 - 아시아경제
- "목줄 풀고 미친 듯이 뛰어 내려왔다"…산불 속 남겨진 반려견들 - 아시아경제
- "청소에 방해된다"…생쌀에 살충제 섞어 비둘기 11마리 죽인 50대 - 아시아경제
- "순직할 뻔했다는 동료"…현직이 올린 소방차 사진에 화마 고스란히 - 아시아경제
- "손님 더 끌려고"…훠궈에 마약류 섞은 향신료 넣은 中 식당 - 아시아경제
- "한국인이 또 담배피고 욕설까지"…'한국인 출입금지' 내건 日 관광지 - 아시아경제
- 저렴한 가격에 속았다…'유해 물질 폭탄' 아이 건강 위협한 청바지 - 아시아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