챗GPT 대신 도서관에서 답을 찾는 사람들 [활자예찬]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편집자주매주 출판 담당 기자의 책상에는 100권이 넘는 신간이 쌓입니다.
표지와 목차, 그리고 본문을 한 장씩 넘기면서 글을 쓴 사람과, 책을 만드는 사람, 그리고 이를 읽는 사람을 생각합니다.
이번 주 신간 '시절 고민, 책으로 답하다'를 읽다 든 생각입니다.
책은 월간 '학교도서관저널'이 창간 15주년을 기념해 출간한 단행본입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편집자주
매주 출판 담당 기자의 책상에는 100권이 넘는 신간이 쌓입니다. 표지와 목차, 그리고 본문을 한 장씩 넘기면서 글을 쓴 사람과, 책을 만드는 사람, 그리고 이를 읽는 사람을 생각합니다. 출판 기자가 활자로 연결된 책과 출판의 세계를 격주로 살펴봅니다.
요즘 궁금한 게 생기면 어디서 답을 찾으세요?
인공지능(AI) 서비스 '챗GPT'에 뭐든지 물어보면 10초 내 답을 들을 수 있는 시대입니다. 요리법, 날씨, 맛집 같은 검색 기능은 물론이고, 보고서 작성과 번역 같은 업무도 가뿐합니다. 얼마 전 함께 일하던 대학생 인턴 기자가 그러더군요. 주변 많은 친구들이 챗GPT로 사주와 운세까지 본다고요.
그러나 인생서 마주친 모든 질문을 챗GPT가 해결해 줄 수는 없습니다. 인생 고민은 '○○역 맛집', '주말 나들이 장소'와 같이 간단하지 않으니까요. 취업 문턱을 번번이 넘지 못할 때, 가까운 사람과 이별할 때, 육아에 지칠 때, 가족이 병들고 늙는 모습을 지켜볼 때, 그 시절마다 세대를 거듭하며 품게 되는 삶의 의문은 어디서 답을, 아니 길을 찾을 수 있을까요.
그럴 때 선뜻 펼쳐볼 수 있는 게 책 아닐까요. 이번 주 신간 '시절 고민, 책으로 답하다'를 읽다 든 생각입니다. 책은 월간 '학교도서관저널'이 창간 15주년을 기념해 출간한 단행본입니다. 그동안 이 잡지와 인연을 맺은 47명의 필자가 10대부터 60대까지 시절마다 만난 자신의 '인생 책' 이야기를 엮었습니다. 잡지 특성상 필진 대부분은 사서 교사들인데요, 공언된 독서가들의 애서를 들여다보는 재미가 쏠쏠합니다.
필자들은 존 스타인벡의 '진주'를 읽다가 "섬광처럼 '사람은 돈이 많다고 꼭 행복한 것은 아니다'라는 걸 알아버"린 열다섯 시절을 추억하거나, 정한아의 '달의 바다'를 읽으며 진로 고민을 하던 자신의 20대를 돌아봅니다. 환갑을 맞이한 어느 날 "버리고 갈 것만 남아서 참 홀가분하다(박경리, '옛날의 그 집')"는 시구를 읽으며 '나는 그럴 수 있을까'를 가늠해보기도 하지요.
이 책을 읽다 보면, 챗GPT가 내줄 수 없는 답이 책에 있다는 데 안도감을 느낍니다. 여전히 책의 자리, 인간의 자리가 있다는 생각에서요. 이번 주말엔 책 속을 헤매며 위로나 용기, 반짝이는 통찰과 재미를 찾는 데 동참해 보시는 건 어떨까요. AI로 대신할 수 없는 책의 힘을 발견할 수 있을 겁니다.
송옥진 기자 click@hankookilbo.com
Copyright © 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김수현 측 "故김새론 성인된 후 교제…변제 촉구한 적 없다" | 한국일보
- 백종원 "생산·유통 과정 용납 안되는 잘못... 사과드린다" | 한국일보
- '탁구 동메달' 전지희 남편, 선수 성폭행 혐의로 10년 출전 정지 | 한국일보
- "이재명 암살계획 성공 기원"... 소기천 前 장신대 교수, 도 넘은 망언 | 한국일보
- "날 죽여 데려가라" 두테르테 체포 직후 12시간 거센 저항… 지문 채취 거부도 | 한국일보
- "나도 너희 해칠 수 있다"... '하늘양 사건' 들먹이며 겁준 초등교사 | 한국일보
- 35억 벌고 퇴사한 30대 파이어족 "명품으로 산 행복은 3일 가던데요?" | 한국일보
- 유연석 측, 수십 억 세금 추징 해명 "세법 해석 차이… 적극 소명할 것" | 한국일보
- "지귀연 부장판사, 윤 대통령 구속 요건 다시 검토해야" | 한국일보
- '전광훈 교회' 특임전도사 재판서 "법원 난동은 부정선거 탓" | 한국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