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부족한 韓시니어주택…노인 0.2%도 못 간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우리나라의 시니어주택은 65세 이상 고령인구의 1%도 수용할 수 없을 정도로 턱없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대부분의 고령자들이 도심의 시니어주택을 원하고 있는데 반해 인구감소지역에 시니어주택을 지을 경우 인센티브를 주는 정책을 내놔 정책 방향이 수요에 맞게 수정돼야 한단 지적이 잇따르는 상황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정부 공급 늘린다지만 지방 치우쳐
[이데일리 박지애 기자] 우리나라의 시니어주택은 65세 이상 고령인구의 1%도 수용할 수 없을 정도로 턱없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초고령사회 진입 속도가 어느 국가보다 빠른 상황에서 고령자들이 살기 적합한 주택에 대한 수요는 매해 눈덩이처럼 불어날 것으로 보여 시니어주택 공급에 속도를 내야 한다는 지적이다.
작년 말 기준으로 우리나라에서 65세 이상 고령인구가 1000만명을 넘어선 점을 감안하면 0.18% 정도만 수용할 수 있는 수준이다. 여성가족부가 2023년 실시한 가족실태조사(1만 2000가구 대상)에 따르면 성인 가구원의 25%는 나이가 들어서 시니어주택에 살고 싶다고 응답해 시간이 흐를수록 수요는 점점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올해부터 중산층 고령자를 위한 시니어주택을 확대하기로 했다. 하지만 대부분의 고령자들이 도심의 시니어주택을 원하고 있는데 반해 인구감소지역에 시니어주택을 지을 경우 인센티브를 주는 정책을 내놔 정책 방향이 수요에 맞게 수정돼야 한단 지적이 잇따르는 상황이다.
노인주거상품 개발을 연구하고 있는 이승왕 희림종합건축사무소 수석은 “당장 은퇴를 앞둔 60~64세 인구가 현재 약 360만명에서 5년 내 410만명으로 급증하게 되고 10년 뒤에는 430만명으로 정점에 도달하게 된다”며 “늦었지만 지금부터라도 중산층 고령자를 위한 돌봄 주택 정책을 적극적으로 수립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박지애 (pjaa@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빠 돈' 5억으로 000 차리면 증여세 면제[세금GO]
- “집 앞이 골프장”…정준호가 공개한 세컨하우스는 어디[누구집]
- "강남도 아닌데" 54살 아파트 평당 1억…어디?
- "아직도 '미장' 안 해?" 국민 55%가 픽한 이유
- "천만 군대 광장으로 나와라"…탄핵반대 집회 최고조
- 나라 팔아먹는 권력자들, 그 시작 [그해 오늘]
- 김아림, 단독 6위로 연속 톱10…‘윤이나 경쟁자’ 이와이 준우승
- '훌륭한 어시스트', '활기찬 움직임'...손흥민 2도움에 극찬 일색
- 상간녀 집 드나드는 남편 어떻게 증거 잡나요?[양친소]
- "2000원 옛날 짜장면이 지금도?"…이곳의 정체는[먹어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