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 클라우드 시장 넘보는 해외 빅테크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내 토종 기업들이 공고히 지켜오던 공공 클라우드 시장에 해외 빅테크들이 진입을 준비하고 있다.
이르면 내년 상반기부터 공공 클라우드 시장을 두고 국내 업체와 글로벌 빅테크 간 경쟁이 격화할 전망이다.
업계 관계자는 "민간·공공 모두 해외 서버에 의존하게 되면 통신 장애 등의 상황에 재빠르게 대처하기 어려울 수 있다"면서 "연구·개발(R&D) 지원 확대, 공공 클라우드 시장의 단계적 개방 등 정부가 최소한의 안전장치를 마련해줘야 한다"고 말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토종 기업들 “기술종속화” 우려
국내 토종 기업들이 공고히 지켜오던 공공 클라우드 시장에 해외 빅테크들이 진입을 준비하고 있다. 최근 정부로부터 시장 진출 허가를 받은 마이크로소프트(MS)를 필두로 구글과 아마존웹서비스(AWS) 등이 연달아 사업 승인을 기다리고 있다. 이르면 내년 상반기부터 공공 클라우드 시장을 두고 국내 업체와 글로벌 빅테크 간 경쟁이 격화할 전망이다. 업계에서는 막대한 자본을 앞세운 외국 업체가 국내 시장을 지배하게 되면 기술 종속화를 피하지 못할 것이란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17일 업계에 따르면 MS는 최근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으로부터 클라우드 서비스 보안인증제(CSAP) ‘하’ 등급 인증을 받았다. 해외 빅테크 기업이 해당 인증을 받은 건 처음이다. CSAP는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의 정보 보호 수준을 평가·인증하는 제도로 보안 수준에 따라 상·중·하 3단계로 나뉜다. 상 등급은 국가안보·외교 관련 시스템, 중 등급은 비공개 업무자료 처리 시스템, 하 등급은 개인정보가 없는 공개 데이터 운영 시스템에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현재 KISA가 진행하고 있는 구글과 AWS에 대한 하 등급 심사도 내년 초 마무리될 것으로 보인다. MS를 비롯해 구글과 AWS 모두 등급 인증을 받으면 중앙행정기관 산하 위원회, 기초자치단체 및 산하기관, 초·중·고교 등과 클라우드 서비스 운영 계약을 맺을 수 있다.
그동안 정부는 공공 클라우드 시장 진출 기업에 ‘물리적 망 분리 원칙’을 고수해왔다. 이에 따르면 서비스 제공자는 공공 서버와 민간 서버를 물리적으로 다른 공간에 구축하고, 관리 인력을 별도로 배치해야 한다. 하지만 정부는 지난해 CSAP 등급제를 도입하고, 네트워크 가상화 기술을 통해 가상 수준에서만 네트워크를 분할하는 ‘논리적 망 분리’를 허용했다. 해외 빅테크가 시장에 진입할 수 있도록 문턱을 낮춰준 셈이다. 정부는 지난 10월 개최한 정보통신전략위원회에서도 민간이 주도하는 클라우드 산업 생태계를 활성화하기 위해 CSAP를 국내외 업계 간 경쟁과 협력 기반으로 개선하겠다고 했다.
업계에서는 해외 빅테크들이 민간에 이어 공공 시장까지 진출하면 토종 업체의 경쟁력이 뒤처질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국내 클라우드 ‘빅3’로 불리는 네이버·KT·NHN 등도 해외 빅테크와의 수주 경쟁에선 강점을 드러내기가 쉽지 않다. 이미 빅테크들은 막대한 자본과 인력을 앞세워 민간 시장에서의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2023년 부가통신사업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국내 민간 클라우드 시장 점유율은 AWS가 60.2%, MS가 24%로 각각 1, 2위를 차지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민간·공공 모두 해외 서버에 의존하게 되면 통신 장애 등의 상황에 재빠르게 대처하기 어려울 수 있다”면서 “연구·개발(R&D) 지원 확대, 공공 클라우드 시장의 단계적 개방 등 정부가 최소한의 안전장치를 마련해줘야 한다”고 말했다.
나경연 기자 contest@kmib.co.kr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Copyright © 국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광기의 러시아, 죽은 北병사 신원 감추려 얼굴 태워”
- “당당히 맞선다”던 尹…출석 요구, 탄핵 서류도 ‘안 받아’
- “자비 베풀어주시길” 조주빈, 또 다른 미성년자 성범죄로 추가 기소
- 후폭풍 수습 고심하지만… 계엄 이후 하루 645명 꼴 탈당
- ‘포스트 한동훈’ 찾는 국힘… 권영세·나경원·원희룡 거론
- 110억원 투자금 ‘치킨 튀기는 로봇’, 초라한 성적표
- “홍준표, 자꾸 나불거리면 끝장내겠다” 명태균의 경고
- 헌재 계류된 8건 미루고 ‘尹 탄핵’ 집중… 내란 혐의도 다룰 듯
- 尹, 검찰총장 때 없앤 ‘포토라인’… 자기 피의자 조사 때 ‘수혜’ 관측
- 연하장 보내고 홈피 마비… 시민들 관심, 헌재로 향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