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지 뒤덮은 인터넷 케이블처럼…해저전선 시대 '성큼' [테크토크]
친환경 에너지 늘어나면서 주목 받아
英, 호주 등 4000㎞ 프로젝트도 발주
고속 인터넷의 시대가 도래하면서 1990년대부터 2000년대 초반까지 우리는 '인터넷 해저 케이블' 붐을 경험했습니다. 케이블 붐은 통신 산업이 성숙기에 이른 현재 잠시 멈칫한 상태이지만, 어쩌면 다시 한번 재도약할지도 모릅니다. 단 이번에는 통신선이 아닌 '전선'이 수요를 북돋을 가능성이 커졌습니다.
해저에 깔린 수천㎞짜리 고압 전선
지난달 21일(현지시간) 호주 IT 기업 '아틀라시안'은 호주 정부로부터 4000㎞에 달하는 해저 전선 케이블 건설 계획을 승인받았다고 밝혔습니다. 이 케이블은 호주 해안에서 시작해 싱가포르로 연결됩니다. 이에 따라 호주의 광활한 평야에 세워진 태양광 패널 전력을 싱가포르에 공급할 수 있게 됩니다.
현재 완공 예정 시기는 2029년으로 예측됩니다. 만일 이 프로젝트가 현실화한다면, 인류 역사상 가장 긴 송전 시스템으로 이름에 남을 겁니다. 4000㎞급 송전망 프로젝트는 유럽에서도 진행 중입니다. 영국과 모로코 사이에 4000㎞ 길이의 해저 케이블을 연결해 영국의 풍력 발전 시설과 모로코의 태양광 발전 시설을 통합하겠다는 'X링크(Xlink)' 프로젝트도 가동 중입니다.
친환경 전환 성공하려면…'간헐적 에너지' 옮겨야
풍력, 태양광 등 친환경 발전 시설의 단점은 '간헐적 에너지(Intermittent Energy)'원이라는 겁니다. 즉, 바람이 많이 불거나 햇빛이 센 날에만 최대의 효율을 발휘하고, 궂은 날씨엔 발전량이 뚝 떨어진다는 뜻이지요.
이 때문에 친환경 발전의 시대엔 전력 공급보다 '수요 통제'가 더 중요해집니다. 수천㎞ 떨어진 국가들의 발전 시설을 하나로 통합하는 것도 이런 수요 통제 계획의 일환입니다. A 국가의 전력이 부족할 땐 B 국가의 전력을 길어올 수 있고, 그 반대도 가능하니까요.
다만 이전의 송전 기술로는 이런 광대한 송전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없었을 겁니다. 초고압직류송전(HVDC) 기술의 발전 덕분에 수천㎞대 송전망 건설이 가능해졌습니다. HVDC는 교류 전력을 직류로 바꿔 송전한 뒤, 전기가 도착하는 지점에서 다시 교류로 바꿔 가정 등에 공급하는 기술입니다. 전기를 먼 거리까지 보내기에 최적화된 기술이지요.
HVDC 자체는 1950년대에도 이미 존재했지만, 그때는 본격적인 국가 간 송전을 꿈꾸기엔 너무 미약한 수준이었습니다. 하지만 현재 제조되는 최신 세대 HVDC는 전선 한 개에 최대 1.2기가와트(GW) 용량을 쏘아 보낼 수 있고, 1000㎞당 전력 손실은 3% 안팎에 불과합니다.
이미 인도 같은 대륙 국가는 1000~2000㎞에 달하는 '전기 고속도로'를 설치해 사용 중이며, 영국-모로코, 호주-싱가포르 프로젝트는 그 규모를 2배 더 늘릴 계획인 겁니다.
'인터넷 케이블'처럼 해저 HVDC도 붐 올까
호주-싱가포르 송전망이나 영국-모로코 X링크가 성공한다면, 앞으로 친환경 에너지 설비를 갖춘 국가들끼리의 '송전망 통합'은 붐을 일으킬 겁니다. 당장 영국의 경우 2030년까지 최대 50GW의 해상 풍력 단지를 건설할 계획이며, 유럽 대륙도 100~150GW를 고려하고 있습니다.
해저 전선망 붐은 21세기 초 '인터넷 케이블 붐'과 유사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1999년부터 2020년까지 지구상에 깔린 해저 통신선은 갑절 이상으로 불어났습니다. 특히 미국의 4대 빅테크(구글·메타·마이크로소프트·아마존)가 전체 투자액의 50%를 장악한 상태이지요.
초기에는 인터넷의 글로벌화를 위해 대대적으로 통신선 투자를 감행했고, 2010년대 들어선 클라우드 데이터 송수신 수요를 감당하기 위해 직접 통신선 사업에 뛰어들었습니다.
HVDC 케이블 사업도 빠르게 성장하고 있지만, 21세기 초 인터넷 케이블이 경험한 폭발적인 수요 증대 수준까지는 아니었습니다. 하지만 어쩌면 친환경 에너지가 인류의 주력 발전원으로 자리 잡게 되면서, 드디어 도약의 발판을 마련하게 된 걸지도 모릅니다.
임주형 기자 skepped@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울릉도 '비계 삼겹살' 정체 밝혀졌다…"찌개용 고기 잘못 내놔" 업주 사과 - 아시아경제
- 첫날 700만명 몰리더니…"15만원 소비쿠폰 13만원에 팔아요" - 아시아경제
- 일본 여행 간 20대 한국 여성 실종…열사병 치료 뒤 한 달째 행방 묘연 - 아시아경제
- "승려들과 성관계 후 164억 뜯어내"…초대형 스캔들에 불교의 나라 발칵 - 아시아경제
- "같은 신입인데 600만원이나 차이난다"… 직무 따라 벌어지는 초봉 - 아시아경제
- 오윤성 교수 "아들 총격 살해범, 평소 박탈감에 복수심 느꼈을 것" - 아시아경제
- 팬이 "별명 지어주세요" 요청했는데…하정우 "최음제" 댓글, 결국 사과 - 아시아경제
- "목동 학원 땜에 이사요?…아뇨, 우리 앤 '광명 200번' 버스 타고 가요"[新교통난민 보고서]⑪ - 아
- 쓰러진 여성 심폐소생술 했더니…"의사가 가슴 만졌다" 中 누리꾼 '와글와글' - 아시아경제
- "너도 300만원 내라고 했어?" 비상…수백만원 벌금 폭탄에 여행객들 '화들짝' - 아시아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