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공무원노조 “공무원·교사 저임금 고착화 그만” … 대규모 투쟁 선언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경남지역 공무원·교원 노동조합이 공무원 실질 임금 현실화를 촉구하며 대규모 투쟁을 선언했다.
한국노총 경남지부와 민주노총 경남지부, 경남도청·경남교육청·창원시 공무원노조, 전국공무원노조 경남지부, 경남교사노조와 전교조 경남지부 등 11개 단체는 26일 도청 앞에서 공무원·교원 생존권 쟁취 전국 릴레이 투쟁 집회를 열었다.
이들은 실질 임금 삭감을 규탄하며 임금 현실화, 공무원보수위법 제정, 연금소득 공백 해소 등을 요구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경남지역 공무원·교원 노동조합이 공무원 실질 임금 현실화를 촉구하며 대규모 투쟁을 선언했다.
한국노총 경남지부와 민주노총 경남지부, 경남도청·경남교육청·창원시 공무원노조, 전국공무원노조 경남지부, 경남교사노조와 전교조 경남지부 등 11개 단체는 26일 도청 앞에서 공무원·교원 생존권 쟁취 전국 릴레이 투쟁 집회를 열었다.
이들은 실질 임금 삭감을 규탄하며 임금 현실화, 공무원보수위법 제정, 연금소득 공백 해소 등을 요구했다.
단체는 “물가 상승률만큼의 임금 인상을 요구했으나 돌아오는 것은 공무원 쥐어짜기”라며 “공무원 저임금 고착화로 공무원 사회는 무너지고 청년 공무원이 최일선을 떠나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정부의 일방적 임금 결정 구조로 기획재정부가 정권 눈치를 보며 공무원과 교사 임금을 결정하고 있다”며 “지난 5년간 한 번도 지켜지지 않은 공무원보수위원회 결정 사항을 이제는 법으로 강제 이행시키고자 한다”고 했다.
아울러 “2015년 국민대타협기구에서 합의한 공무원·교원 보수 및 직급 간 보수 격차 적정화, 공무원연금 지급개시 명령 연장에 따른 소득공백해소 방안 마련, 경찰 및 소방공무원 정년 관련 논의, 공무원·교원 승진제도 논의를 지켜라”고도 했다.
단체는 “남들은 공무원이 철밥통이라 하지만 밥이 없고 통이 찌그러져서 밥을 담을 수 없다”며 “청년 공무원이 생계 걱정에 떠나는 공직사회가 아니라 자부심을 품고 일하면서 더 질 높은 행정서비스를 제공하는 날까지 투쟁하겠다”고 했다.
영남취재본부 이세령 기자 ryeong@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덥수룩한 수염, 변기보다 더럽다며 피했는데…전문가들의 반전 답변 - 아시아경제
- 중국 쇼핑몰서 난데없는 '전두환 티셔츠'…서경덕 "아픈 역사를" 개탄 - 아시아경제
- "그냥 가입 안 할게요" 1시간 설문에 녹취까지…잡음 끊임없는 금소법[금융혁신:성장을 설계하다
- "사실은 출국 18~29일 전이 제일 싸요"…초고수들만 아는 항공권 구매 '꿀팁'[주머니톡] - 아시아경
- 병원 가려던 주민도 '화들짝' 놀랐다…갑자기 관광객 늘어난 곳 - 아시아경제
- '尹 변호' 김계리, 국힘 입당 제동에 "가족되신 것 환영한다더니" - 아시아경제
- "어느새 스르르 잠들어…중독적이다" 폭락하던 식당 매출, '이것' 하나로 대반전 - 아시아경제
- 밥 안 먹는 5살 아이 머리 식판에 짓누른 보육교사…법원 "선고유예" - 아시아경제
- "숨막혀서 못 살겠다"…머스크 데이터센터에 뿔난 주민들 결국 - 아시아경제
- "당이 잘못했다" 이준석에 사과한 김문수[대선판 흔든 이 한마디] - 아시아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