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MM 뒷걸음칠 때… 장금상선, 해운업 불황에도 몸집 불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내 종합선사인 장금상선이 지난해 해운업 불황에도 유조선(탱커)을 사들이면서 자산 규모가 2조원 가까이 증가했다.
16일 해운업계와 공정거래위원회에 따르면, 장금상선의 공정자산은 지난 2022년 말 12조4870억원에서 지난해 말 14조2010억원으로 13.7%(약 1조7140억원) 늘었다.
장금상선은 계열사를 동원해 VLCC(초대형원유운반선) 등 탱커를 발주했다.
장금상선은 1분기에 4억4500만달러(약 6185억원)를 들여 해외 선사로부터 8척의 선박을 사들였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국내 종합선사인 장금상선이 지난해 해운업 불황에도 유조선(탱커)을 사들이면서 자산 규모가 2조원 가까이 증가했다.
16일 해운업계와 공정거래위원회에 따르면, 장금상선의 공정자산은 지난 2022년 말 12조4870억원에서 지난해 말 14조2010억원으로 13.7%(약 1조7140억원) 늘었다. 공정위 관계자는 “장금상선은 지난해 신조 선박 건조 및 장기 운용 리스가 늘면서 공정자산이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다만 재계 서열 순위는 38위로 2계단 하락했다.
공시대상기업집단 해운사 중에서 HMM은 이 기간 공정자산이 25억7880억원에서 25억5080억원으로 줄었고, 고려에이치씨의 공정자산은 6조99억원에서 5조8570억원으로 감소했다.
장금상선은 계열사를 동원해 VLCC(초대형원유운반선) 등 탱커를 발주했다. 장금상선은 계열사인 장금마리타임, 시노코페트로케미컬, 흥아해운 등을 통해 탱커를 운용하고 있다.
장금마리타임의 자산 총계는 2022년말 1조6636억원에서 2023년말 2조3109억원으로 38.9%(6473억원) 늘었는데, 이 중 선박 자산은 약 5000억원으로 77%를 차지했다. 같은 기간 시노코페트로케미컬의 자산 총계는 3조6720억원에서 4조980억원으로 11.6%(4260억원)이 늘었다. 이 중 선박 자산(3682억원)이 약 86%를 자치했다.
장금상선이 VLCC를 매입하는 이유는 홍해 사태와 러시아산 원유 수입 제재로 선박 가치가 올라가고 있기 때문이다. 해양진흥공사와 클락슨리서치에 따르면 4월 기준 VLCC 신조가는 1억3050만달러(약 1756억원)로, 지난해(1억2800만달러) 보다 1.9% 올랐다. 건조된 지 5년이 된 중고선가 역시 지난 3월 기준 1억1300만달러로 신조가와 맞먹는다.
장금상선은 올해도 VLCC를 추가로 매입할 것으로 보인다. 장금상선은 1분기에 4억4500만달러(약 6185억원)를 들여 해외 선사로부터 8척의 선박을 사들였다.
장금상선은 정태순 회장이 지분 100%를 가진 홍콩 회사가 지분 82.97%를 보유하고 있다. 정 회장은 장금상선 지분 17.03%를 갖고 있어 사실상 정 회장 개인회사다. 장금상선은 2022년에도 자산규모를 3조원 이상 늘리면서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에 지정됐다.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SK하이닉스, 차세대 HBM 공급 가격 대폭 인상…엔비디아와 ‘신경전’
- ‘땅 장사’ 지적 받은 LH…‘싱가포르식 개발’ 보니 “매년 兆 단위 손실 보전”
- AI폰 흥행에 잭팟 터진 삼성 MX사업부... ‘AI 대중화 전략’ 효과로 미국서 애플 턱밑 추격
- [팩트체크] 김용범 실장이 말한 “농산물 시장 이미 99.7% 개방” 맞는지 따져보니… 실제론 ‘97.8
- [똑똑한 증여] “골드바 몰래 주면 아무도 모르겠지?”… 10년 지나도 적발 땐 세금 토해내야
- 관세협상 주도한 美 러트닉, MBK 김병주 회장과 긴밀한 관계… ‘하버포드 인맥’
- “대통령실 온다더니”… 세종 아파트, 대선 후 매물 10% 늘고, 가격 내리막
- [금융포커스] 증시 큰손 OK캐피탈, 두달에 2300억 투자… 최윤 오너 일가 자산 불리기?
- 폴란드서 잘나가는 K2 전차… 부품사도 웃는다
- [법조 인사이드] 콜마 경영권 분쟁 ‘주총 개최’ 경쟁… 핵심인 ‘주식반환 소송’은 거물 변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