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朴 대통령 관저근무는 근무지 이탈..해명 필요"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회가 박근혜 대통령의 '관저 근무'가 법적 근거가 없는 근무 형태라고 주장한 의견서를 헌법재판소에 제출했다.
12일 국회 법제사법위원장인 권성동 소추위원은 박 대통령 탄핵심판 4차 변론기일을 마친 뒤 기자회견에서 "박 대통령은 근무장소 이탈에 해당한다"고 말했다.
박 대통령 측은 관저에도 본관 집무실과 똑같은 기능의 집무실이 있으며 대통령 업무의 특성상 관저 근무를 재택근무로 볼 수 없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한진주 기자] 국회가 박근혜 대통령의 '관저 근무'가 법적 근거가 없는 근무 형태라고 주장한 의견서를 헌법재판소에 제출했다.
12일 국회 법제사법위원장인 권성동 소추위원은 박 대통령 탄핵심판 4차 변론기일을 마친 뒤 기자회견에서 "박 대통령은 근무장소 이탈에 해당한다"고 말했다.
권 위원은 "공무원이 유연근무제, 탄력근무제를 하려면 다 법적 근거가 있다"며 "그런데 박 대통령의 경우 법률적 근거 없이 재택근무를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박 대통령은 평소 특별한 외부 일정이 없으면 관저에 있는 업무 공간에서 일을 한다고 밝혀왔다. 세월호 참사 당일에도 관저에 계속 머물러 논란이 됐다.
박 대통령 측은 관저에도 본관 집무실과 똑같은 기능의 집무실이 있으며 대통령 업무의 특성상 관저 근무를 재택근무로 볼 수 없다고 주장하고 있다.
국회 측은 12일 헌법재판소에 낸 의견서에서 박 대통령의 해명을 지시해달라고 요청했다.
국회 측은 "국가공무원인 대통령은 다른 법적 근거가 없는 한 근무일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자택이나 관저가 아닌 공무소로 출근해 근무해야 할 의무가 있다"며 "대통령은 관저에서 취침과 휴식 등 일상생활을 하지만 일과시간에는 집무실이 있는 본관에서 직무를 수행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박 대통령의 관저근무는 탄핵소추 사유 중 '성실직책 수행의무'를 위배하는 중요한 사항"이라고 말했다.
한진주 기자 truepearl@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 맛있는 걸 한국인만 먹었어?"…美 진출해 '오픈런 대박'난 롯데리아 - 아시아경제
- "낳은 적 없는 아들 둘이 호적에"…전 남편이 숨긴 충격적 사실 - 아시아경제
- "어쩐지 낯익더라니"…스페인 파티갔다가 몸수색 당한 헐리우드 대표 미남 - 아시아경제
- "누구길래 두달째 안 나타나지?"…900억원 당첨자에 호주 '들썩' - 아시아경제
- "예상했지만 이 정도일줄"…'하고 싶은 거 다 했다'는 호텔 결혼 비용, 얼마길래 - 아시아경제
- 김건희 구치소 첫 아침은 식빵·소시지·샐러드…한 끼 단가 1733원 - 아시아경제
- "남자의 돈은 필요 없지만, 돈 있는 남자는 필요해"…고소득 여성들의 속내 - 아시아경제
- "청소하러 갔는데 애까지 보라고?"…서울시, 가사노동자 가이드라인 만든다 - 아시아경제
- "당장 비트코인 사라" 주식 '대폭락' 임박해…또 주장한 '부자아빠' - 아시아경제
- SNS에 돈다발 올리며 "나 영앤리치야"…美 우체국 직원 알고보니 - 아시아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