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값 오를 것" 예상하는 국민, 1년 전보다 24%P 늘었다

류호 2021. 3. 6. 14:0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갤럽 "국민 61% 집값 상승 전망, 정부 대책 무색"
"내 집 필요" 73%..20대 응답률이 가장 높아
정부 부동산 정책 평가 긍정 11%, 부정 74%
청년진보당 당원들이 5일 오전 서울 청와대 분수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땅 투기 의혹을 받고 있는 LH(한국토지주택공사) 직원들을 규탄하는 퍼포먼스를 하고 있다. 배우한 기자

정부가 집값을 잡기 위해 잇따라 고강도 부동산 대책을 내놓고 있지만, 국민은 오히려 집값이 계속 상승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국민의 61%가 앞으로 1년 동안 집값이 오를 것이라고 답했는데, 이는 지난해 3월 조사와 비교하면 24%포인트나 뛴 수치다.

본인 소유의 집이 필요하다는 응답률도 73%로,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가장 높게 나타났다. 내 집이 필요하다는 응답률은 20대에서 가장 높았는데, 현 정부 들어 집값 폭등과 전세 품귀 현상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한국갤럽은 2~4일 전국 만 18세 이상 성인 1,002명을 대상으로 집값 전망을 조사한 결과(표본오차 95% 신뢰수준에 ±3.1%포인트), 응답자의 61%가 '오를 것'이라고 답했다고 5일 밝혔다.

'집값이 내릴 것'이라고 답한 응답자는 13%에 그쳤고, '변화가 없을 것'이라고 내다본 응답자는 17%였다. 응답자의 9%는 의견을 유보했다.

집값 상승 전망은 매년 상승하고 있다. 2018년 9월 조사에선 50%가 집값이 오른다고 답했는데, 2019년 12월에는 55%, 2020년 7월 조사에선 61%로 최고치를 경신했다.

지난해 3·6월 조사에선 37%만 집값이 상승한다고 예측했다. 그러나 지난해 7월 61%로 치솟은 뒤 8·11월 조사에선 50%대 후반을 보였다. 상승 전망은 큰 등락 없이 지난해 여름 이후 유지되고 있는 셈이다. 한국갤럽은 이에 대해 "그동안 정부의 부동산 대책과 입법이 무색하다는 결과"라고 평가했다.


20대 72% "내 집 필요"…2014년보다 20%P 상승

3일 서울 강남 교보빌딩에서 바라본 강남 도심의 아파트와 주택. 배우한 기자

'향후 1년간 전월세 등 주택 임대료 전망' 조사에서도 응답자의 62%가 '오를 것'이라고 답했다. '내릴 것'이라고 답한 응답자는 8%에 그쳤고, 20%는 '변화가 없을 것'이라며 부정적으로 내다봤다. 부정 평가는 무주택자나 낮은 연령층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본인 소유의 집이 있어야 한다'는 응답률도 꾸준히 상승하고 있다. 2014년 7월 조사에선 응답자의 54%가 본인 소유의 집이 있어야 한다고 답했는데, 이번 조사에선 73%로 19%포인트나 상승했다. 2017년 1월 조사에서 63%로 60%를 넘었고, 2018년 이후로는 70%를 웃돌았다. '본인 소유의 집이 필요 없다'고 답한 응답자는 25%였고, 2%는 의견을 유보했다.

60대 이상을 제외하면 본인 소유의 집이 필요하다는 응답은 20대에서 가장 높게 나왔다. 18~29세 응답자 중 72%가 내 집이 필요하다고 했는데, 이는 2014년 7월 조사 때보다 약 20%포인트 상승한 수치다. 40대는 2014년 조사 때와 비슷한 68%로 나타났다. 본인 소유의 집이 있어야 한다고 답한 응답자는 무주택자(61%)보다 주택 보유자(81%)가 더 많았다.

갤럽은 이에 대해 "임대 주택 거주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20·30대가 지난 몇 년간 전세 품귀, 월세 전환, 임대료 급등 상황을 겪으며 본인 소유의 집 필요성을 절감한 것으로 볼 수 있다"고 평가했다.


무주택자 24% "내 집 마련, 10년 이상 걸릴 것"

9일 오후 서울의 한 부동산 중개업소의 매물정보게시판의 모습. 뉴스1

무주택자라고 밝힌 응답자에게 '내 집 마련 예상 시기'를 조사한 결과, '10년 넘게 걸릴 것'(24%)이라는 응답률과 '영영 어려울 것'(23%)이라는 응답률이 비슷하게 나왔다. '5~10년 걸릴 것'이라는 응답률은 23%, '5년 미만'은 8%, '내 집 마련 의향이 없다'는 13%로 조사됐다. 9%는 의견을 유보했다.

연령별 내 집 마련 예상 시기에는 차이가 있었다. 20대에선 '10년 이상'이 47%, 30대에선 '5~10년'이 38%로 가장 많았다. 40대에선 '5~10년'과 '영영 어려울 것 같다'가 28%를 차지했고, 50대에선 '영영 어려울 것 같다'가 40%나 나왔다. 60대 이상 역시 '영영 어려울 것 같다'가 47%로 가장 많았다.

문재인 정부의 부동산 정책 평가를 묻는 조사에선 응답자의 11%만 '잘하고 있다'고 답했다. 반면 응답자의 74%는 '잘못하고 있다'고 답했다. 현 정부 출범 이후 긍정 평가는 최저치를, 부정 평가는 최고치를 경신했다. 부정 평가는 지난해 7월 조사(64%)에서 처음으로 60%대를 넘어선 뒤 계속 상승해 왔다. 이번 조사에선 처음으로 70%대를 돌파했다.

류호 기자 ho@hankookilbo.com

Copyright © 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