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징벌적 과세로 매매 위축되고 임대차 3법으로 전세난 심화"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대한건설협회와 한국주택협회, 한국부동산개발협회가 지난 27일 주최한 정부 주택정책 토론회에서 전문가들은 "정부가 내놓은 주택정책이 의도한 효과를 내지 못할 것"이라고 입을 모았다.
패널토론 좌장을 맡은 제해성 아주대 명예교수는 "정부 주택정책은 부동산 전반이 아니라 오로지 서울 강남을 겨냥한 것 같다"며 "서민들의 주택 문제에 더 관심을 쏟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심교언 "정부, 문제인식 못해"
제해성 "서울 강남만 겨냥"
이상영 "세금인상, 원칙 없어"
“국민 삶의 질과 직결된 주택 문제는 정치가 아닌, 국민 경제의 눈으로 풀어야 한다. 시장을 존중하지 않는 정책은 모두를 만족시킬 수 없다.”(권도엽 전 국토해양부 장관)
대한건설협회와 한국주택협회, 한국부동산개발협회가 지난 27일 주최한 정부 주택정책 토론회에서 전문가들은 “정부가 내놓은 주택정책이 의도한 효과를 내지 못할 것”이라고 입을 모았다.
‘정부 주택정책의 대안을 제시한다’를 주제로 열린 이날 토론회의 발제자로 나선 심교언 건국대 부동산학과 교수는 “정부가 문제를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어 “그렇기 때문에 정부가 지금까지 주택 공급이 충분하다고 말해 오다가 최근 공급을 늘리는 정책을 펴는 등 문제의식을 편의적으로 바꾸는 것”이라고 했다.
심 교수는 주택 매매가는 다소 떨어지고 전세가는 올라가는 추세가 나타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보유세와 양도소득세에 대한 징벌적 과세로 매매시장이 위축되고 가격 상승 압력은 줄겠지만 임대차 3법으로 전세난은 심해질 것”이라며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인 2010년대 초에 나타난 현상이 재연될 수 있다”고 했다.
그는 정부의 부동산 공급 대책의 효과에 대해서도 낙관하지 않았다. 심 교수는 “정부가 2~3년 안에 주택 공급이 줄어들 수 있으니까 신도시를 조성한다고 한다”며 “하지만 경기 고양시 일산 등 수도권에 집이 부족해서가 아니라 서울에 괜찮은 단지가 없어 집값이 폭등했는데 재건축·재개발은 막아놓고 있다”고 했다.
패널토론 좌장을 맡은 제해성 아주대 명예교수는 “정부 주택정책은 부동산 전반이 아니라 오로지 서울 강남을 겨냥한 것 같다”며 “서민들의 주택 문제에 더 관심을 쏟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상영 명지대 교수는 “보유세를 올리고 거래세를 낮춰야 한다는 원칙이 일반적이었는데 정부가 둘 다 올리면서 그런 원칙이 없어졌다”고 꼬집었다. 그는 “부동산 세제 개편의 핵심은 세율을 높이는 게 아니라 공시가격을 현실화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임유 기자 freeu@hankyung.com
▶ #믿고 보는 #기자 '한경 기자 코너'
▶ 네이버에서 한국경제 뉴스를 받아보세요
▶ 모바일한경 구독신청
ⓒ 한국경제 & hankyung.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푸틴 "러시아 개발 '코로나 백신' 맞은 내 딸 건강"…효능 강조
- 해외서 때아닌 고추장 '열풍'…"K-드라마 덕분"
- 韓조선업의 힘…글로벌 수주 절벽 속 한국조선해양 추가 수주
- "광화문 집회 가면 일당 5만원에 음식 제공"…靑 국민청원 등장
- "서울시 알박기 철회하라"…대한항공, 송현동 땅 날선 비판
- 1차 토론 후 이재명 46.0% vs 김문수 41.6%…첫 오차범위 내 접전 [에브리리서치]
- "새벽 4시부터 줄섰어요"…외국인도 50만원어치 쓸어담았다 [현장+]
- '尹 변호사' 김계리 "국힘, 입당 환영한다더니…자격심사위 당혹"
- 대선 D-16 '후보 사퇴' 나왔다…후보직 던진 이유는?
- "누가 그 돈 주고 사먹겠어요?"…치킨가게 사장님들 '비명'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