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신도시 지구단위계획 유지 10년→5년 단축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앞으로 부지 규모 330만㎡ 이상 신도시도 준공 후 지구단위계획 유지 기간이 일반 중소형 택지개발지구처럼 5년으로 단축된다.
공공택지조성법에 근거해 추진하는 3기 신도시는 준공 후 5년 만에 지구단위계획 변경이 가능한 까닭에 택지개발촉진법에 따라 개발된 2기 신도시에서 해당 규제를 지속하면 '역차별'이 발생하는 문제도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앞으로 부지 규모 330만㎡ 이상 신도시도 준공 후 지구단위계획 유지 기간이 일반 중소형 택지개발지구처럼 5년으로 단축된다. 택지조성 후 10년간 용도 변경을 금지한 규제가 대폭 완화된 것이다. 인천 검단, 김포 한강, 파주 운정 등 2기 신도시 지역이 수혜를 볼 전망이다.
그동안 신도시에서 택지조성 공사가 완료되면 10년간은 임의대로 개발계획을 바꿀 수 없었다. 통상 신도시 개발 이후 10년간은 자족 기능을 확보하는 과정인 만큼 원안을 유지하는 게 합리적이라고 봤기 때문이다. 택지조성 후 용도 변경이 쉬워지면 땅값이 급등하거나 난개발이 이뤄지는 부작용도 고려했다.
이 규제가 처음 도입된 2003년엔 신도시나 일반택지지구 모두 10년으로 용도 변경 제한이 설정됐다. 그러나 용도 제한이 풀린 분당 등 1기 신도시에서 주상복합 위주 개발이 급증하자 정부는 2004년 지침을 바꿔 신도시에선 준공 후 20년간 용도 변경을 불허했다. 이후 시장 침체기였던 2013년 신도시는 10년, 일반택지지구는 5년으로 각각 단축했고, 이번에 신도시까지 준공 후 5년으로 용도변경 제한 기간을 단일화했다.
국토부 관계자는 “현행 규정대로라면 이들 지역에선 2~10년 뒤에나 용도 변경이 가능했을 것”이라며 “제도가 시행되면 지자체 판단에 따라 김포와 양주는 곧바로, 연말 1단계 준공을 앞둔 검단은 5년 뒤에 토지이용계획을 변경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바뀐 제도는 행정예고를 거쳐 이달 말부터 적용한다.
전문가들은 보완책을 주문한다. 권대중 명지대 부동산학과 교수는 “최근 도시가 성숙단계에 들어가는 시간이 짧아져 기존 10년 용도 변경 제한 규제는 과도한 측면이 있었던 게 사실”이라며 “현실에 맞춰 제도를 개선한 것은 긍정적이지만 지가 상승 등 부작용을 최소화할 대책도 필요하다”고 했다.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 유인석 '성매매 알선 인정'..아내 박한별 '옛 탄원서' 화제
- 가세연 "'KBS 몰카 개그맨' 박대승"..입장표명 요구 잇따라
- 500원짜리 '비말차단 마스크' 이번주 금요일부터 판다
- 바닷속 보물'선' 패권경쟁..한국이 전세계 '빅4'
- 전투헬기 투입·경찰 총상..미국, 사실상 내전상태
- 결정사 간 '46세' 이정진 "난 자산 40억, 고졸"…여성 조건은? - 머니투데이
- '바둑 신동' 中 9세 소년 사망…"경기 지면 아버지가 발로 차" 목격담 - 머니투데이
- 우회전 일시정지 안 지킨 시내버스…'초록불' 건너던 20대 사망 - 머니투데이
- 김재중, 양부모에 '60억 집' 선물했지만 욕 먹어…"미안해" 왜? - 머니투데이
- '놀면 뭐하니?' 여자 멤버 다 빠진다…유재석 포함 4인 체제로 - 머니투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