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 정부 출범 후 4년간 주요 아파트 실거래가 평균 37.5% 올라
임기 4년차를 맞은 문재인 정부의 견고한 국정수행 지지율에도 부동산 정책에 대해서는 잦은 대책 발표로 시장 피로감이 커지는 모습이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장기화에 따른 전반적인 경기 침체와 법인 거래 자금조달계획 의무 도입, 분양권 전매 제한, 3기 신도시 및 용산 정비창 주거시설 공급 등의 이슈로 최근 아파트 가격이 소폭 하락했지만, 4년 동안 전국 주요 아파트의 실거래가는 두자릿수 상승률을 보였기 때문이다.
27일 경제만랩이 국토부의 실거래가 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2017년 5월 현 정부 출범 이후 이달까지 전국 주요 아파트들의 가격은 평균 37.5%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서울 강남구 대치동 '동부센트레빌' 전용 145㎡의 실거래가는 지난 2017년 5월 21억5000만원에서 이달 33억3000만원으로 4년간 54.9% 올랐다. 같은 기간 경기 성남시 분당구 백현동 '판교푸르지오그랑블' 전용 117㎡도 61.4%(14억9000만원→24억 500만원)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
아울러 현 정부 4년간 아파트 가격 상승률이 전국에서 가장 높은 지역은 대전으로 집계됐다. 대전 서구 둔산동 '크로바' 전용 134㎡는 올해 4월 13억7000만원에 실거래됐다. 이는 지난 2017년 5월(6억7000만원) 대비 상승률이 104.5%에 달한다.
대구 북구 칠성동 '대구역 서희스타힐스' 전용 84㎡와 부산 남구 용호동에 위치한 'GS하이츠' 전용 171㎡, 광주 수완지구 '광주 수완6차 대방 노블랜드' 전용 115㎡도 2017년 5월부터 이달까지 각각 1억500만원(3억1000만원→4억1500만원), 4억600만원(8억6900만원→12억7500만원), 2억5500만원(4억6500만원→7억2000만원) 올랐다.
이에 비해 충북과 울산, 경북, 경남, 제주, 강원 등지의 주요 아파트들의 가격 상승률은 10%에 그쳐 서울과 6대 광역시 간 아파트 가격 격차는 더욱 커졌다.
오대열 경제만랩 팀장은 "임기 4년차를 맞은 현 정부는 부동산 공시가격을 올려 재산세와 보유세 등 각종 세금을 인상시키고 대규모 주택공급을 통해 아파트 가격을 낮추기 위해 계속해서 규제할 것으로 예상된다"면서도 "시중 유동자금이 풍부한 만큼 서울과 6대광역시 등 개발 이슈가 있는 지역을 중심으로 투기수요가 유입될 수 있다"고 말했다.
[조성신 기자 robgud@mkinternet.com]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전셋값 1년새 8천만원 올랐다..집주인 "반전세로"
- [매부리TV] 2주택자 보유세 3천만원 줄이는 법
- 운정·검단에 기업유치하고 주택 추가공급
- 강남재건축 초긴장..현실화된 부담금 초과이익 환수
- '명분과 실리 동시에' 이케아 품고 가든파이브 부활하나
- 강경준, 상간남 피소…사랑꾼 이미지 타격 [MK픽] - 스타투데이
- AI가 실시간으로 가격도 바꾼다…아마존·우버 성공 뒤엔 ‘다이내믹 프라이싱’
- 서예지, 12월 29일 데뷔 11년 만에 첫 단독 팬미팅 개최 [공식] - MK스포츠
- 이찬원, 이태원 참사에 "노래 못해요" 했다가 봉변 당했다 - 스타투데이
- 양희은·양희경 자매, 오늘(4일) 모친상 - 스타투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