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문수 “윤석열에 사과를” 한동훈 “충성은 나라에”···국힘 경선 토론회서 공방
한동훈은 “아버지가 계엄해도 막아야”
12·3 사태엔 “계몽” “저지” 인식 상반
김문수·한동훈·안철수 국민의힘 대선 경선 후보가 24일 TV 토론회에서 윤석열 전 대통령의 12·3불법계엄, 탄핵 찬반을 두고 맞붙었다.김 후보는 한 후보에게 탄핵 책임론을 들며 “윤 전 대통령을 찾아뵙고 사과하거나 아니면 후보직을 사퇴해야 한다”고 공세했다. 한 후보는 “형제 관계에 있었던 사람이 계엄을 하면 막지 말아야 하나”라며 “충성은 나라에 해야 한다”고 맞받았다. 탄핵 찬성파인 안 후보는 김 후보에게 대국민 사과를 요구했고, 김 후보는 “안 후보가 사과하시라”고 거부했다.
김 후보는 이날 서울 종로구 동아미디어센터 채널A 스튜디오에서 진행된 국민의힘 경선 TV 토론회에서 한 후보와 양자 토론을 했다. 그는 한 후보와 윤 전 대통령의 관계가 “눈에 넣어도 아프지 않은 후배” “형제 관계 이상”이었다는 점을 수차례 강조했다. 김 후보는 그러면서 “대통령께서 계엄하고 파면되고 탄핵당하는 모든 과정에 첫번째 책임을 물으라면 (책임이) 한 후보에게 있다”며 “당대표로서 자기 국회의원들을 이용해 탄핵까지 하고 (계엄을) 내란이라고 불렀다”고 말했다.
그러자 한 후보는 “형제 관계에 있던 사람이 계엄을 하면 막지 말아야 하나”라고 반박했다. 그는 “눈에 넣어도 아프지 않은 후배가 아닌지 몇 년 됐다”라며 “(윤 전 대통령이) 제가 당대표되는 것도 반대하지 않았나”라고 말했다.한 후보는 “공직을 개인의 하사품, 소유물이라고 생각 안 한다”라며 “만약 제가 대통령이 된다면 제가 기용할 어떤 사람에게도 그런 식의 충성을 요구하지 않을 것이다. 충성은 나라에 해야지 저에게 할 게 아니다”라고 반박했다.
김 후보는 한 후보에게 “윤 전 대통령을 찾아뵙고 ‘정말 제가 인간적으로 못 할 짓 했다’고, 당에 대해서는 ‘탄핵을 성사시킨 그 역할을 당대표로서 했지만 잘못했다’고 사과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한 후보는 김 후보에게 “계엄이 잘못된 게 아니라고 생각하시는 것 같다”며 “국민들에게 사과할 생각이 없느냐”라고 맞섰다.
한 후보는 김 후보의 범죄 경력 등 도덕성 문제를 파고 들었다. 한 후보는 “김 후보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보다 전과가 많다”며 “폭행치상 사건도 있었다”고 말했다. 그러자 김 후보는 폭행치상 사건에 대해 “전혀 없다. 저는 직선제 개헌을 쟁취하고자 하다가 (감옥에) 갔다”며 이 후보의 범죄와 성격이 다르다고 반박했다. 김 후보 캠프는 토론회를 마친 뒤 “폭행치상 사건은 사실”이라며 “이 후보의 중대 범죄에 상응하는 범죄가 있었던 것처럼 몰아서 ‘그런 사실이 없다’고 표현한 것”이라고 정정했다.
한 후보는 김 후보와부정선거론을 주장하는 극우 유튜버 전광훈 목사와의 친분도 지적했다. 한 후보는 “(김 후보 전과 중) 두 건은 전 목사와 관련돼 있다”라며 “김 후보가 올 2월 전 목사에게 자유민주주의 수호 목사라고 하지 않았냐”라고 물었다. 김 후보는 이에 수긍하며 “한 후보는 전 목사가 사회주의를 (추구)하는 목사라고 보나”라고 맞받았다.
12·3 불법계엄을 두고도 두 후보는 상반된 인식을 나타냈다. 김 후보는 ‘계엄은 계몽령이라는 주장에 동의하느냐’는 사회자 질문에 “상당히 센스 있는 말”이라며 “(계엄을 통해) 젊은이나 정치 무관심층이 민주당이 국회에서 얼마나 포악한 일들을 많이 했는지 깨닫는 계기가 됐다”고 말했다. 반면 한 후보는 토론회를 시작할 때 자신이 민주주의자라는 점을 강조하며 “아버지가 계엄을 했어도 막았을 것이다. 당대표로서 계엄을 저지한 세력”이라고 말했다.
김 후보는 이어 안 후보와 양자 토론에 나섰다. 안 후보는 “진심으로 솔직하게 사과해야 탄핵의 강을 넘고 이기는 길로 갈 수 있다”며 김 후보에게 탄핵 대국민 사과를 요구했다. 그러자 김 후보는 “국민께 안 후보는 사과하시라”며 안 후보가 탄핵에 찬성한 것을 문제 삼았다. 김 후보는 “많은 부정선거를 주장하는 분들에 대해 경청해야 한다”며 부정선거론에 사실상 동조했다. 사전투표제 폐지도 주장했다. 반면 안 후보는 “부정선거 증거가 발견되면 거기서 시작해 모든 일을 풀어갈 수 있는데 그런 일이 안 생기면 명백히 부정선거라 말하기 어렵다”고 선을 그었다.
이보라 기자 purple@kyunghyang.com, 박광연 기자 lightyear@kyunghyang.com, 민서영 기자 mins@kyunghyang.com, 유새슬 기자 yooss@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국힘 친한계 김근식 “제발 윤석열 다시 구속해주세요”
- [속보]윤석열, ‘부정선거 다큐영화’ 관람…파면 후 첫 공개 행보
- 충북 초등학교서 외부인 숨진 채 발견…학생들 한때 대피도
- 김용태, ‘부정선거’ 영화 관람 윤석열에 “계엄에 대해 반성·자중할 때”
- 이재명 “SNS가 제 목숨줄…없었으면 언론 왜곡에 가루 됐다”
- “쌀이 집에 넘쳐서 사본 적 없다” ‘보릿고개’ 와중 망언한 일본 농림수산상 결국 경질
- ‘아동학대 혐의’ 손웅정 감독 등 3명 3∼6개월 출전정지 징계
- 박정희 동상 놓고 “피해자가 용서하면 좋겠다”는 이인기 민주당 공동선대위원장
- [르포] “국힘 꼬라지 보니 안돼” “부산도 돌아섰다”···계엄에 싸늘한 낙동강, 심상찮다
- 정부, 미국 관세 충격에 28조6000억원 금융지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