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심 비번 설정하래" 따라 했다가…"휴대폰 잠겼다" 민원 급증
초기 비번 오입력으로 휴대폰 잠겨…하루 2000건 민원
국내 1위 이동통신사 SK텔레콤의 유심(USIM) 정보가 유출되는 해킹 사고가 발생하면서 이용자 불안감이 고조된다. 일각에선 "유심 도용·복제를 막으려면 유심에 비밀번호를 설정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지만, 업계에선 실효성이 낮다고 지적한다. 자칫 휴대폰이 잠기는 불편을 겪을 수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는 설명이다.
24일 온라인 커뮤니티와 SNS에선 유심 비밀번호 설정을 권유하는 게시물이 잇따른다. 유심에 비밀번호를 걸면 외부의 해킹 공격을 막을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이통사 서버 내 유심 정보가 유출된 케이스의 해결책으로는 적합하지 않다고 본다. 보안업계 관계자는 "유심 비밀번호 설정은 휴대폰을 분실하거나 도난당했을 때 이를 습득한 사람이 기기 내 유심을 꺼내 복제하거나, 유심 정보에 접근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한 조치"라며 "유심 내 고유정보가 해킹된 이번 사례엔 해당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유심 비밀번호를 3차례 이상 잘못 입력하면 휴대폰이 잠겨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이 경우 대리점에 방문해야만 휴대폰을 해제할 수 있다. 초기 비밀번호는 '0000'(숫자 '0' 4개)으로, 이를 입력한 후 자신만의 비밀번호로 바꿀 수 있는데 이를 모르고 처음부터 자주 쓰는 비밀번호를 입력하다 휴대폰이 잠기는 사례가 빗발친다.
X(옛 트위터)에서 한 이용자는 "초기 비밀번호가 '0000'인걸 모르고 자주 쓰는 비밀번호를 입력했다가 3회 이상 오입력으로 핸드폰이 벽돌이 됐다"고 토로했다.
실제 어제 하루에만 SKT 고객센터 및 대리점에 관련 문의가 2000건 이상 접수된 것으로 나타났다. 휴대폰이 잠긴 경우 이통사가 제공하는 개인잠금해제(PUK) 코드를 입력해야 해제할 수 있다. 다만 PUK 번호를 10회 틀린 경우는 유심을 아예 다시 구매해야한다.
SKT 관계자는 "타인이 고객 유심 정보를 복제·탈취해 다른 기기에서 접속하는 것을 차단하는 '유심보호서비스' 가입만으로도 우려되는 사고를 막을 수 있다"며 "전 고객에 서비스 가입 권장 문자메시지(MMS)를 순차 발송하는 등 피해 예방에 총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윤지혜 기자 yoonjie@mt.co.kr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 이국주, 도쿄 '9평 원룸'서 사는 근황…일본으로 떠난 이유가 - 머니투데이
- 배종옥 "남자 배우들 '미투급' 음담패설" 폭로…"방송국 가기 싫었다" - 머니투데이
- "난 성소수자" 공연 중 밝힌 남자 아이돌…"박수 보낸다" 멤버도 응원 - 머니투데이
- '이혼숙려캠프' 출연한 전 축구선수 강지용 사망…축구계 애도 물결 - 머니투데이
- 노홍철 저질댄스에 놀란 7살, 미스코리아 됐다…"무도 20주년 축하" - 머니투데이
- "왜 오르는지 모르겠네"…재능 없이 20억 번 40대 직장인 투자법 - 머니투데이
- 현대가 정대선·노현정 성북동 주택, 3차 경매서 21억대 낙찰 - 머니투데이
- 인테리어 다 했는데…홍현희 부부, 1년만 60억 아파트 떠난 이유 - 머니투데이
- 중학생 10명 '집단 가스중독'…청소년수련원서 가스 밸브 공사 - 머니투데이
- '미우새 출연' 코요태 빽가 모친, 어제 별세…"생전 지병 앓아" - 머니투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