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64% "尹 내란죄로 처벌해야"... 아스팔트 보수만 동떨어진 민심[한국일보 여론조사]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경마식 여론조사의 한계가 뚜렷합니다.
한국일보는 지지율 숫자를 뽑아내는 데 그치지 않고 대선의 의미, 후보 역량과 자질, 공약 평가 등을 심도 있게 살피고자 일간지 최초로 유권자 3,000명 규모의 대선 인식 '웹조사'를 실시했습니다.
국민의힘과 김 후보 지지층에선 '내란죄에 해당한다'는 응답은 12%에 머무르며 민심과 상당히 동떨어져 있는 인식을 보였다.
김 후보와 국민의힘 지지층의 고립된 인식은 윤 전 대통령의 국정 운영 평가에서도 판박이처럼 나타났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중도층도 10명 중 7명 "尹 내란죄 해당"
이대남도 고령층도 尹 국정 부정 평가
국힘·김문수 지지층만 민심과 '괴리'
편집자주
경마식 여론조사의 한계가 뚜렷합니다. 한국일보는 지지율 숫자를 뽑아내는 데 그치지 않고 대선의 의미, 후보 역량과 자질, 공약 평가 등을 심도 있게 살피고자 일간지 최초로 유권자 3,000명 규모의 대선 인식 '웹조사'를 실시했습니다. 총 5회 심층조사로 국민의 위대한 선택을 안내하겠습니다.
이대남(20대 남자)도, 고령층도 모두 등을 돌렸다. 지난 대선 윤석열 전 대통령을 전폭적으로 지지했던 최대 우군들의 마음은 3년 만에 싸늘하게 식었다. 유권자의 64%는 윤 전 대통령을 내란죄로 심판해야 한다고 못 박았다. 12·3 불법 계엄은 국민과 헌법에 대한 명백한 배신이라고 본 것이다. 윤 전 대통령을 비호하는 그룹은 국민의힘과 김문수 후보 지지층으로 급격히 왜소해졌다.
중도층도 70% "내란죄"… 金 지지층은 "12%"
한국일보가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공개한 여론조사 결과, 응답자의 64%는 윤 전 대통령이 내란죄로 처벌받아야 한다고 생각했다. '내란죄까지는 해당하지 않는다'는 응답(32%)보다 2배 높은 수치다. 특히 중도층의 70%가 윤 전 대통령의 계엄 모의·실행을 내란죄로 판단했다. 내란죄가 아니라는 응답(22%)보다 3배 이상 많은 것으로 일반론의 격차보다 더 벌어졌다. 더불어민주당의 입법 독주를 제어하기 위한 경고성 계엄이란 윤 전 대통령의 허무맹랑한 궤변을 인정하지 않은 것이다.
반면 강성 보수층의 생각은 정반대였다. 국민의힘과 김 후보 지지층에선 '내란죄에 해당한다'는 응답은 12%에 머무르며 민심과 상당히 동떨어져 있는 인식을 보였다. 다만 보수 안에서도 온도차는 있었다. 김문수 고정지지층의 91%는 '내란죄가 아니다'라고 강변했지만, 유동지지층으로 넘어오면 68%로 그 수치가 떨어지며 결집도가 약해졌다.
尹 국정운영 부정평가 '압도적'… "국민의힘 왜소화돼"
김 후보와 국민의힘 지지층의 고립된 인식은 윤 전 대통령의 국정 운영 평가에서도 판박이처럼 나타났다.
국민의 78%는 윤 전 대통령이 국정 운영을 '잘 못했다'고 평가했고, 19%만이 '잘했다'고 평가했다. 중도층의 부정 평가는 84%로 치솟았다. 60대 이상을 포함한 모든 성·연령대에서 부정 평가가 압도적으로 높았으며, 20대 여자의 부정 평가가 91%로 가장 높았다. 지난 대선 윤 전 대통령을 지지했던 이대남 역시 74%가 '잘 못했다'고 돌아섰다.
하지만 김 후보의 고정지지층의 평가는 '잘했다' 66%, '잘 못했다' 32%로 완전히 역전됐다. 지난 대선의 윤 전 대통령 지지층(44%), 보수층(46%), 국민의힘 지지층(56%)보다도 잘했다는 평가가 단연 높았다. 최창렬 용인대 교양학부 교수는 "김 후보나 국민의힘을 지지하는 사람들이 상당히 강성 우파 성향을 띤다는 것은 그만큼 국민의힘이 왜소화된 것"이라고 평가했다.
민주주의 발전할 것 37%, 퇴보할 것 32%
한편 윤 전 대통령 파면에 따른 조기 대선 영향으로 향후 우리나라 민주주의가 어떻게 될 것으로 생각하는지 묻는 질문에는 '발전할 것이다' 37%, '퇴보할 것이다' 32%, '큰 차이는 없을 것이다' 24%로 '발전 가능성'에 조금 더 무게가 실렸다. 다만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 고정지지층은 74%가 긍정적으로 봤고, 김 후보의 고정지지층은 69%가 부정적으로 전망해 서로 엇갈렸다. 이 후보의 당선 가능성이 높다는 점이 반영된 정치적 해석이 가미된 평가란 분석이다.
■ 회차순으로 읽어보세요
- ① 국민 64% "尹 내란죄로 처벌해야"... 아스팔트 보수만 동떨어진 민심
(www.hankookilbo.com/News/Read/A2025051918410002750) - ② "강제 단일화, 해서는 안 될 일"... 유권자 70% '친윤 쌍권 지도부'에 철퇴
(www.hankookilbo.com/News/Read/A2025052015450003043) - ③ 이재명 지지층 절반도 '개헌 빅텐트' 공감... 기회 날린 김문수
(www.hankookilbo.com/News/Read/A2025052013310002775) - ④ 계엄으로 길 잃은 15%, 국민의힘 놓치고 있다
(www.hankookilbo.com/News/Read/A2025052015080003847) - ⑤ 보수층조차 기대 접은 '반명 빅텐트'... "김문수 통합 못할 것"
(www.hankookilbo.com/News/Read/A2025052014540005771)
김경준 기자 ultrakj75@hankookilbo.com
Copyright © 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단독] '건진 샤넬백' 하나 더 있다... "이것도 김건희 비서가 교환" | 한국일보
- 尹, 부정선거 망령 소환… 국민의힘 “자중하라, 대체 왜 이러나" | 한국일보
- 아내한테 혼난 김문수 "'미스 가락시장' 발언, 주의 깊지 못해 죄송" | 한국일보
- 김문수 '민주화운동 보상금 10억' 거절 논란 따져보니 | 한국일보
- 배연정, 췌장암 투병 후유증 고백... "온몸 근육 소실, 남편이 업고 다녀" | 한국일보
- '정원만 80평'... 김남주, 삼성동 전원 주택 최초 공개 | 한국일보
- '400만 수험생 멘토' 이지영, UNIST 인공지능 특임교수로 | 한국일보
- 국민의힘, '김문수 특보' 임명장 무더기 발송에 "진심으로 사과" | 한국일보
- 계엄으로 길 잃은 15%, 국민의힘 놓치고 있다 | 한국일보
- 쿠팡 심야조에 알바 두 탕 '주 73시간'··· 경제난 속 'N잡러' 폭증 | 한국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