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절반 배제한 국민 여론조사로 대선 민심 얻겠다니 [기자의 눈]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난해 총선 과정에서 황당한 사실을 알았다.
국민의힘이 여론조사로 지역구 후보를 뽑는데 성별, 연령별 표본을 실제 인구비에 맞춰 할당하지 않았다.
국민의힘이 이번 대선 1차 경선에서 실시하는 '국민' 여론조사도 비슷하다.
국민의힘이 준용한다는 여론조사심의위원회의 선거여론조사 기준은 '누구든지 선거여론조사를 실시할 땐 조사대상 전체에 대한 대표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피조사자를 선정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역선택 방지 탓 연령·지역 인구 대표성 왜곡
지난해 총선 과정에서 황당한 사실을 알았다. 국민의힘이 여론조사로 지역구 후보를 뽑는데 성별, 연령별 표본을 실제 인구비에 맞춰 할당하지 않았다. 그러면 응답률이 높은 60대 이상이 과대 반영된다. 60대 이상 인구가 전체의 30%인데 실제 결과에는 60% 넘게 반영된 곳도 있었다. 인구 대표성은 고려조차 하지 않았다. 악마는 디테일에 있다더니 그짝이었다.
국민의힘이 이번 대선 1차 경선에서 실시하는 '국민' 여론조사도 비슷하다. 당은 민심 눈높이를 강조했지만 역선택 방지조항을 적용한 탓에 '반쪽'이 됐다. 다른 정당 지지층은 빼고 국민의힘 지지 또는 무당층의 응답만 반영한다.
한국갤럽의 3월 통합 조사로 시뮬레이션을 해봤다. 40·50대는 인구 비율보다 적게, 반면 60대 이상은 더 많게 경선 결과에 반영됐다. 대구·경북(TK)과 광주·전남·전북(호남)은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10% 수준으로 비슷하지만, 경선에 반영되는 비율은 TK가 3배 가까이 많을 것으로 추산됐다. 가중치를 부여해도 근본적인 불균형은 해소되지 않는다.
17일 관련 보도([단독]인구 비슷한 TK와 호남, 경선 반영은 3배 차이... 국민의힘 여론조사 왜곡?)가 나가자 국민의힘은 '허위 보도'라고 비난했다. 당 미디어특위 위원장인 이상휘 의원은 18일 "한국일보 주장대로라면 역선택 방지조항을 적용하더라도 인구 비율대로 표본을 맞춰야 한다는 해석이 된다"고 주장했다.
당연하다. 여론조사의 기본은 대표성 확보다. 국민의힘이 준용한다는 여론조사심의위원회의 선거여론조사 기준은 '누구든지 선거여론조사를 실시할 땐 조사대상 전체에 대한 대표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피조사자를 선정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여론조사 기관들이 응답률 낮은 '강원 20대 여성'과 같은 샘플을 확보하기 위해 계속해서 전화를 돌리는 것도 그 때문이다.
윤희웅 오피니언즈 대표는 "야당 지지자들의 생각을 빼더라도, 전체 국민의 분포를 고려해 고르게 반영되는 것이 취지에 부합하는 것"이라며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거나 편중되는데도 방기하는 것은 애초 제도 취지에 전혀 부합하지 않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역선택 방지로 인해 인구 대표성이 왜곡된다는 비판 기사를 냈더니, 국민의힘은 역선택 방지가 원래 그런 것이라는 주장을 펴고 있다. 그렇다면 국민의힘은 '국민 여론조사' 대신 '지지층 여론조사'나 '당심 여론조사'라고 했어야 한다. 국민 절반을 배제하고서 어떻게 국민 여론조사가 될 수 있나.
2021년 서울시장 보궐선거 당시 오세훈 국민의힘 후보는 역선택 방지조항을 넣지 않은 여론조사를 100% 반영하는 방식으로 당내 경선을 통과했다. 선거 결과는 서울 25개구 전역, 425개 동 가운데 420개 동에서 승리했다. 더불어민주당을 비롯한 다른 당 지지자들이 오 시장을 뽑지 않았다면 일어날 수 없는 일이다. 전례 없는 탄핵 대선이다. 국민의힘은 정말 지지층과 무당층의 민의 만으로 대선에서 이길 수 있다고 생각하는 건지 묻고 싶다.
(www.hankookilbo.com/News/Read/A2025041616140001473)
(www.hankookilbo.com/News/Read/A2025041016440004435)
(www.hankookilbo.com/News/Read/A2025041416590003080)
김도형 기자 namu@hankookilbo.com
Copyright © 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내란 사면' 선 그은 이재명 "당선되면 일단 용산으로"... 증세 두고는 이견 | 한국일보
- "입에서 입 '러브샷' 시켰다"... 조선대 신입생 MT 성희롱 논란 | 한국일보
- 배우 김정민, 전 남친 10억 소송 언급 "법정 다툼 중 어머니 쓰러져" | 한국일보
- 순대 6개에 2만5000원 '그 축제', 이번엔 식중독까지… 80명 신고 | 한국일보
- 돌팔이 집에 들여 포경수술 맡겼다가... 생후 45일 갓난아기 비극 | 한국일보
- 청첩장 펼쳤더니 신랑·신부가 3명… 대륙이 깜짝 놀란 웨딩 소동 | 한국일보
- 빚 때문에 가족 5명 살해? 강호순·이춘재 자백 이끈 프로파일러 투입 | 한국일보
- "강남역에 누가 산다" 제보… 7개월 전 실종된 지적장애인 | 한국일보
- 미국서 쫓겨난 한국인 교수… "트럼프 행정부가 돌연 비자 취소" | 한국일보
- 尹 선물 받은 반려견, 서울대공원이 키운다... '文 비판' 모습 어디로? | 한국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