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상배 MIT 교수, 메타 합류…로보틱스 연구 이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세계적인 로봇 과학자인 김상배 매사추세츠공대(MIT) 기계공학과 교수가 최근 메타(Meta)에 합류했다.
김 교수는 메타에서 로보틱스 분야 연구·개발을 진두지휘한다.
김 교수는 지난 16일 링크드인을 통해 "메타의 새로운 로보틱스 스튜디오에서 로보틱스 아키텍트(Robotics Architect)로 연구·개발을 이끌게 됐다"고 밝혔다.
김 교수는 지난 10년간 MIT 생체모방로봇연구소를 이끌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세계적인 로봇 과학자인 김상배 매사추세츠공대(MIT) 기계공학과 교수가 최근 메타(Meta)에 합류했다. 김 교수는 메타에서 로보틱스 분야 연구·개발을 진두지휘한다.
김 교수는 지난 16일 링크드인을 통해 “메타의 새로운 로보틱스 스튜디오에서 로보틱스 아키텍트(Robotics Architect)로 연구·개발을 이끌게 됐다”고 밝혔다. 그는 세계 최초로 전기모터를 단 사족보행 로봇 ‘치타’를 개발한 로봇 과학자다.
김 교수는 지난 10년간 MIT 생체모방로봇연구소를 이끌었다. 그는 “최근 메타의 리얼리티랩스팀을 대상으로 로보틱스 강연을 했는데 인공지능(AI), 증강현실 등 다양한 영역에서 메타가 구축하고 있는 기술과 그 비전, 그리고 그 기술이 로보틱스 발전에 가져올 잠재력에 깊은 인상을 받았다”면서 합류하게 된 배경을 설명했다.
그러면서 “뛰어난 동료들과 함께 일하게 돼 기대가 크다”고 했다. 이어 “팀을 처음부터 함께 구축해나갈 수 있어 기쁘고, 조만간 [로보틱스 스튜디오의] 소식을 전하겠다”고 덧붙였다.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포탄 자체 생산 늘리는 유럽… 韓 방산, 현지화로 대응
- [인터뷰] KAIST 교수 된 충남대병원장 “전 세계 100만명 건강 정보 모아 수명 늘리겠다”
- [명의를 찾아서] “3개월 내 숨지는 급성 백혈병도 완치 가능…혈액암 정복에 올인”
- [비즈톡톡] 쏘카, 포르셰 카쉐어링 ‘아반떼N’ 때와는 다를까
- [재테크 레시피] “설문조사 했더니 15점 올랐어요”… 떨어진 신용점수 올리는 방법은
- 6억원 광고 모델료 못 받아 소송 건 한예슬… 고등법원 판단은?
- 다음주 코스피200·코스닥150 종목 변경… 편출 종목은 공매도 쏠릴 수도
- [김지수의 인터스텔라] 유현준 “머스크는 21세기의 알렉산더, 트럼프보다 오래 갈 것”
- [르포] 명동 피규어샵에 중국인 100명 ‘오픈런’… “中에 리셀, 한 번에 200만원도 법니다"
- ‘형수 욕설’ ‘소방관 갑질’ 네거티브 공방전… 사회 통합 현안서도 격돌(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