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세종 대통령실 시대’ 꺼낸 배경…“충청이 대선 바로미터”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가 임기 내 대통령 세종 집무실 건립 등 공약을 내걸고 "세종을 행정수도의 중심으로 완성하고 제2차 공공기관 이전을 조속히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민주당의 권역별 순회 경선 시작 지역인 충청권을 겨냥해 주요 공약 중 하나로 '세종 대통령실 시대' 청사진을 제시한 것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가 임기 내 대통령 세종 집무실 건립 등 공약을 내걸고 “세종을 행정수도의 중심으로 완성하고 제2차 공공기관 이전을 조속히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민주당의 권역별 순회 경선 시작 지역인 충청권을 겨냥해 주요 공약 중 하나로 ‘세종 대통령실 시대’ 청사진을 제시한 것이다.
이 후보는 17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충청은 국토의 중심이자 수도권과 남부권을 잇는 전략의 요충지다. 충청의 심장이 뛰어야 대한민국 경제의 혈맥이 살아난다”며 “세종을 명실상부한 행정수도로, 대전은 세계적인 과학수도로 만들겠다”고 밝혔다. 아울러 “충북은 미래산업의 중심지로, 충남은 환황해권 거점으로 완성하겠다”고도 했다.
특히 세종에 대해서는 “사회적인 합의를 거쳐 국회 본원 및 대통령 집무실 세종완전 이전을 추진하고, 현재 중단된 공공기관 이전도 조속히 재개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대통령 집무실을 세종으로 옮기는 등 행정수도를 이전하는 문제는 개헌 논의와도 맞물려 관심을 끄는 사안이다.
이 후보 경선 캠프의 강훈식 총괄본부장은 이날 오전 충청지역 공약 브리핑에서 이와 관련해 “현행법 내 할 수 있는 범위에서 신속히 추진할 예정”이라면서도 “완전 이전은 수도 이전에 가깝고, 국민적 동의와 사회적 합의가 이뤄져야만 가능한 사안이라 더 자세한 입장은 이 후보가 토론회 등에서 낼 수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강 본부장은 대통령실 집무실 이전과 관련, 대선 직후 용산 대통령실 사용 여부에 대해서는 “고민이 많이 되는 사안”이라며 “아직 정해진 것은 없다”고 밝혔다. 민주당 내부에선 이 후보가 대선에서 승리할 경우, 청와대를 다시 사용하거나 정부서울청사 등을 이용하며 시간을 두고 세종 집무실로 이전하는 방안을 검토할 것이란 얘기가 나온다.
이 후보 캠프는 이날 △충청권 첨단산업벨트 구축 △환항해권 해양관광벨트와 충북 휴양·힐링 관광벨트 조성 △청주공항 확장과 사통팔달 광역 교통망 구축 등 충청지역을 겨냥한 다른 공약도 내놨다.
충청권 첨단산업벨트는 대전(인공지능·우주), 세종(스마트행정), 충북(바이오·반도체·이차전지), 충남(디스플레이)을 이어 각 지역의 전략산업에 맞춰 인프라를 확충하고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겠다는 구상이다. 이 후보는 “대덕연구특구를 글로벌 과학기술 혁신 클러스터로 전환하고 글로벌 융합연구 네트워크를 강화하겠다. 인재 양성 인프라 확충도 지원하겠다”며 “삭감된 연구개발(R&D) 예산을 대폭 늘리고 연구 생태계를 일으키겠다”고 말했다.
아울러 충북은 ‘케이(K)-바이오스퀘어’를 조기 조성해 글로벌 바이오산업 클러스터로 육성하고, 보령·태안·당진에 있던 석탄화력발전소 폐쇄 지역은 태양광·풍력·그린수소 등 재생에너지 중심지로 전환하겠다고도 했다.
지역 관광 부흥 차원에서는 서해안에는 해상교량 건설로 관광도로망을 완성하고, 해양 생태계 복원을 지원할 계획이다. 충북 내륙의 경우 청주·증평·진천·음성을 잇는 관광·휴양지 조성을 지원한다.
교통환경 개선을 위해서는 청주국제항공에 민간전용 활주로를 신설하고, 충북선·호남선 고속화를 서둘러 엑스(X)자형 강호축 철도망을 완성할 계획이다. 잠실 또는 동탄에서 청주공항까지 이어지는 수도권 내륙 광역철도를 추진하고, 대전 도심 철도 지하화도 단계적으로 추진한다.
강 의원은 “충청이 매번 대선에서 가장 중요한 바로미터였다”며 “당도 이런 점을 잘 알아 충청 지역을 첫번째 경선지로 선정한 것 같다”고 했다. 민주당은 첫 순회 경선 지역으로 충청권을 선정하고 권리당원 대상 온라인 투표를 진행하고 있다. 다가오는 19일 충북 청주에서 후보들이 합동연설을 한 후 투표결과가 발표될 예정이다.
고경주 기자 goh@hani.co.kr
Copyright © 한겨레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윤석열·김건희, 7일 만에 물 228톤 쓰고 나갔다…또 세금 줄줄?
- 한덕수 ‘알박기’ 막은 변호사 “교과서 남을 판례…9대0 결정 의외”
- [속보] 정부, 내년 의대 정원 ‘3058명’ 동결…의대생 수업 거부에 ‘백기’
- 황교안은 입 다물었던 트럼프 질문, 한덕수는 어떻게 알려졌을까
- 권성동, 질문하는 기자 손목 잡아채 끌고가 “지라시 취재는 거부”
- 국힘 대통령 후보 적합도 홍준표 12%…한동훈 10% 김문수 9% [NBS]
- 국민 66% “한덕수 대선 출마 바람직하지 않다” [NBS]
- 이재명 “임기 내 세종 대통령 집무실·국회의사당 건립”
- [속보] 문다혜 1심서 벌금 1500만원…음주운전·불법숙박업 혐의
- 한은 총재도 최상목 미 국채 2억 두고 “부적절…의심 살 만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