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보다 배꼽은 기우… '무료 배송'에 다이소 온라인 '활활'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다이소가 카테고리 확장에 이어 물류와 배송 서비스까지 강화하면서 퀵커머스에도 도전장을 내밀었다.
다이소 온라인몰의 가장 큰 고민은 '소액 상품' 특성상 배송비 부담이 컸다는 점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다이소는 3만원 이상 주문 시 익일 무료배송 정책을 도입, 소비자들의 호응을 끌어냈다.
배송 서비스 혁신과 함께 다이소몰 앱의 성장세도 눈에 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다이소는 창업 이후 줄곧 대형 오프라인 매장을 중심으로 운영했으나 일본 자본을 털어낼 무렵부터 온라인 사업을 본격적으로 강화하기 시작했다. 외부 자본을 정리한 뒤 경영 독립성을 확보하면서 국내 상황에 맞는 경영에 집중할 수 있게 됐고 알리, 테무 등 C커머스 공습, 오프라인 매장 보유 기업의 O4O(Online for Offline) 마케팅 등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풀이된다.
2023년 12월, 기존 오픈마켓 형태의 '다이소몰'과 자체 온라인몰이자 모바일앱인 '샵(#)다이소'를 하나로 통합해 '다이소몰'로 새롭게 출범시켰다. 소비자들은 오프라인 매장에서 경험하던 다양한 상품과 서비스를 온라인에서도 손쉽게 누릴 수 있게 됐다.
배송 서비스 혁신과 함께 다이소몰 앱의 성장세도 눈에 띈다. 와이즈앱·리테일 자료에 따르면 2025년 3월 기준 다이소몰 앱 사용자 수는 405만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89% 신장하며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오프라인 매장과 연계한 옴니채널 전략이 제대로 효과를 본 셈이다.
물류 인프라 역시 대폭 강화 중이다. 다이소는 2027년 1월 완공을 목표로 세종 스마트그린산업단지에 대규모 자동화 물류센터인 '세종허브센터'를 구축 중이다. 다이소는 기존에 운영하던 남사, 부산, 안성 물류센터에 이어 세종센터까지 조성되면 3만여종에 이르는 상품의 공급 체계와 물류 효율성이 크게 향상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황정원 기자 jwhwang@mt.co.kr
Copyright © 머니S & moneys.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결혼 10일 남기고…예비 신랑과 장모, 딸 보석 훔쳐 '야반도주' - 머니S
- '산후우울증' 아내, 친정에 3일 머물렀는데… 남편 "아이 볼 생각마" - 머니S
- 브라톱+핫팬츠 '아찔'… 블핑 제니, 섹시한 카우걸 변신 - 머니S
- "누가 선 채로 X싸고 내렸어요"… 출근길 9호선 인분 소동 - 머니S
- '결혼 12일 만에 이혼' 이민영 "공백기에 7조 모았다"… 진실은? - 머니S
- 집에서 포경수술하다… 생후 2개월 아기, 과다출혈로 사망 - 머니S
- 김수현, '120억원 손배소' 재판 비용 미납… 소송 각하되나 - 머니S
- [뉴욕증시] 엔비디아·파월 악재에 '와르르'… 나스닥 3% 폭락 - 머니S
- '2억' 테슬라 사이버트럭에 날라차기? '퍽'… 사이드미러 파손(영상) - 머니S
- 선결제 권유하더니… "강남 미용실 원장 5억원 먹튀했어요" - 머니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