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1분기 5.4% 성장… “밀어내기 수출 영향”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미국과 중국 간 관세를 앞세운 통상전쟁이 치열하게 전개되는 가운데 올 1분기(1∼3월) 중국 경제가 5.4% 성장률을 달성하며 시장 전망치를 웃돈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미국이 최근 중국 제품에 대한 관세를 145%까지 올린 만큼 본격적인 통상전쟁의 여파는 2분기(4∼6월)부터 반영될 것으로 전망된다.
15일 UBS는 올해 중국 성장률 전망치를 4%에서 3.4%로 낮췄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2분기부터 통상전쟁 본격 영향
미국과 중국 간 관세를 앞세운 통상전쟁이 치열하게 전개되는 가운데 올 1분기(1∼3월) 중국 경제가 5.4% 성장률을 달성하며 시장 전망치를 웃돈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미국이 최근 중국 제품에 대한 관세를 145%까지 올린 만큼 본격적인 통상전쟁의 여파는 2분기(4∼6월)부터 반영될 것으로 전망된다.
16일 중국 국가통계국은 1분기 국내총생산(GDP)이 작년 동기 대비 5.4% 증가한 31조8758억 위안(약 6187조 원)이라고 발표했다. 로이터통신(5.1%)과 블룸버그통신(5.2%)이 보도한 시장 전망치를 웃도는 수치다. 중국은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5% 안팎의 성장률을 목표로 세웠다.
중국의 1분기 경제 성장은 수출과 국내 소비 증가가 견인했다. 1분기 수출은 위안화 기준 1년 전에 비해 6.9% 늘었고, 특히 3월 한 달간 13.5% 증가했다. 블룸버그통신은 “기업들이 미국의 관세가 부과되기 전에 서둘러 상품을 출하하며 3월 수출액이 급증했다”고 분석했다. 3월 산업생산도 7.7% 늘어 로이터 전망치 5.8%를 상회했다. 중국 정부가 내수 활성화에 힘을 쏟는 가운데 1분기 소매 판매는 지난해보다 4.6% 늘었다. 보상 판매 독려 등 정책 지원으로 스마트폰을 포함한 통신장비(지난해보다 26.9% 증가), 스포츠 레저용품(25.4%), 문화사무용품(21.7%) 등이 소매 판매를 이끈 것으로 보인다.
다만, 이달 발효된 미국의 대중 관세 여파로 2∼4분기 중국의 수출 및 내수는 크게 위축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실제로 최근 글로벌 투자은행(IB)들은 중국의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잇따라 낮추고 있다. 15일 UBS는 올해 중국 성장률 전망치를 4%에서 3.4%로 낮췄다. 앞서 골드만삭스는 올해 중국의 성장률 전망을 4.5%에서 4%로, 씨티그룹은 4.7%에서 4.2%로 각각 하향 조정했다.
김윤진 기자 kyj@donga.com
베이징=김철중 특파원 tnf@donga.com
Copyright © 동아일보.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헌재 “권한대행이 재판관 지명, 극심한 혼란 생길 것”
- [사설]“극심한 혼란 발생”… 헌재가 제지한 韓의 재판관 지명 ‘월권’
- [사설]증원 1년 만에 포기, ‘트리플링’ 현실화… 병만 키운 돌팔이 정책
- [사설]“한반도+중국海 ‘원 시어터’로”… 日 영향력 확대 의도 경계해야
- [송평인 칼럼]대선 경쟁이 팽팽해지기 위한 3가지 조건
- [단독]내란종식 내건 이재명, ‘민간인 국방장관’ 대선공약 추진
- 美, 저성능 AI칩도 中수출 통제… 관세전쟁, 반도체로 확전
- 대통령실 압수수색 시도… 경찰, 尹파면 후 첫 수사
- 절대강자 없는 국힘 경선… 의원들 ‘어디에 줄서나’ 눈치게임
- 이재명 싱크탱크 “지방 2주택 감세”… 김경수-김동연은 증세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