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마·미스트랄·딥시크-V2 ‘오픈소스’ 아닌 ‘오픈웨이트’

변희원 기자 2025. 4. 17. 00:35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Small Read]

지난 7일 스탠퍼드대 인간중심AI연구소(HAI)가 ‘인공지능(AI) 인덱스 2025’를 발표했다. 이 보고서는 “오픈웨이트(open-weight) 모델은 폐쇄형 모델과 격차를 빠르게 좁혔고, 일부 벤치마크에서는 1년 만에 성능 차이를 8%에서 1.7%로 줄였다”고 했다. 오픈웨이트 모델은 오픈소스 모델과 어떻게 다른 것일까.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오픈웨이트와 오픈소스는 모두 개방형 모델이지만 개방하는 범위가 다르다. 오픈웨이트의 ‘웨이트’는 가중치다. 가중치는 AI가 어떤 정보를 더 중요하게 생각할지 결정해주는 숫자값이다. 가중치를 알면 AI 모델이 데이터를 어떻게 처리하는지 알 수 있다.

오픈웨이트는 가중치를 공개하지만 소프트웨어 설계도라 할 수 있는 소스코드나 학습 데이터는 공개하지 않는다. 수정과 배포는 일부 제한된다. 오픈소스는 가중치를 포함해 소스코드와 학습 데이터를 밝히고 수정과 배포도 자유롭다. 메타의 라마, 미스트랄, 딥시크-V2 등이 대표적인 오픈웨이트 모델이다.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