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마·미스트랄·딥시크-V2 ‘오픈소스’ 아닌 ‘오픈웨이트’
변희원 기자 2025. 4. 17. 00:35
[Small Read]
지난 7일 스탠퍼드대 인간중심AI연구소(HAI)가 ‘인공지능(AI) 인덱스 2025’를 발표했다. 이 보고서는 “오픈웨이트(open-weight) 모델은 폐쇄형 모델과 격차를 빠르게 좁혔고, 일부 벤치마크에서는 1년 만에 성능 차이를 8%에서 1.7%로 줄였다”고 했다. 오픈웨이트 모델은 오픈소스 모델과 어떻게 다른 것일까.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오픈웨이트와 오픈소스는 모두 개방형 모델이지만 개방하는 범위가 다르다. 오픈웨이트의 ‘웨이트’는 가중치다. 가중치는 AI가 어떤 정보를 더 중요하게 생각할지 결정해주는 숫자값이다. 가중치를 알면 AI 모델이 데이터를 어떻게 처리하는지 알 수 있다.
오픈웨이트는 가중치를 공개하지만 소프트웨어 설계도라 할 수 있는 소스코드나 학습 데이터는 공개하지 않는다. 수정과 배포는 일부 제한된다. 오픈소스는 가중치를 포함해 소스코드와 학습 데이터를 밝히고 수정과 배포도 자유롭다. 메타의 라마, 미스트랄, 딥시크-V2 등이 대표적인 오픈웨이트 모델이다.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조선일보에서 직접 확인하세요. 해당 언론사로 이동합니다.
- “누구 좋으라고 소환” “이첩 재검토하라”… 특검이 겨눈 ‘공수처 수뇌부’ 범죄
- 국힘, ‘한동훈 당원 게시판 논란’ 공식 조사 착수
- 검찰, ‘50억 클럽’ 곽상도 아들에 징역 9년·벌금 50억 구형
- 부산 성지곡 저수지 빠져 실종된 20대, 9일 만에 숨진 채 발견
- CJ그룹, ‘마마 어워즈’와 함께 홍콩 화재 참사 38억 기부...韓 가요계 성금 잇따라
- 전 연인 살해 후 폐수조에 유기한 50대 구속
- 고명환, 박소령, 유재덕…책벌레들 “책이 내 인생을 바꿨어요”
- 인천 고교 폭파 협박 10대 구속 송치... 역 등 공공시설 협박도 드러나
- 장동혁 “12·3 계엄, 결과적으로 국민들께 혼란과 고통... 책임 통감”
- 금감원, 홍콩 ELS 과징금 2조원 사전통지...역대 최대 규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