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삼육대 기숙사서 전염성 강한 ‘옴’ 발생…건물소독·학생 귀가 조치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서울 노원구 삼육대학교의 기숙사에서 전염성이 강한 피부병인 옴이 발생했다.
삼육대 측은 건물 소독에 이어 관련 학생 귀가 등 조치에 나섰다.
16일 삼육대 등에 따르면 지난 10일 남자 기숙사인 시온관 5층에 거주하는 학생 두 명이 옴에 걸린 것으로 확인됐다.
검사 결과 옴에 걸린 것은 아닌 것으로 파악됐지만, 학교 측은 학생들의 우려를 고려해 에덴관 건물 역시 소독 조치 중이라고 설명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 노원구 삼육대학교의 기숙사에서 전염성이 강한 피부병인 옴이 발생했다. 삼육대 측은 건물 소독에 이어 관련 학생 귀가 등 조치에 나섰다.
16일 삼육대 등에 따르면 지난 10일 남자 기숙사인 시온관 5층에 거주하는 학생 두 명이 옴에 걸린 것으로 확인됐다.
옴진드기가 피부에 기생하면서 생기는 옴은 진드기가 피부 각질층에 굴을 만들면서 심한 가려움증이 발생한다. 대개 4∼6주 정도 잠복기를 거쳐 증상이 나타난다.
학교 측은 해당 학생 두 명을 즉시 귀가시켰으며, 다음날 건물 전체 소독을 완료했다. 또 기숙사생들에게 문자 등으로 옴 발생 사실을 공지했다.
이후 15일에는 여자 기숙사인 에덴관에 거주하는 학생 한 명이 가려움을 호소했다. 검사 결과 옴에 걸린 것은 아닌 것으로 파악됐지만, 학교 측은 학생들의 우려를 고려해 에덴관 건물 역시 소독 조치 중이라고 설명했다.
또 시온관 5층 거주 학생들에게는 아래층 방문을 자제해달라고 요청했으며, 기숙사생들에게는 도서관 대신 기숙사 안에서 공부하도록 안내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삼육대 관계자는 “현재까지 추가 감염자는 나오지 않았으나 잠복기를 고려해 예의 주시 중”이라고 설명했다.
학교 측은 15일 SNS 단체대화방을 통해 ‘에덴관 신학숙에 옴환자가 발생해 소독을 실시한다’고 공지했는데, 공지가 얼마 지나지 않아 지워지며 일부 구성원이 문제를 제기하기도 했다.
곽선미 기자
Copyright © 문화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속보]헌재, ‘한덕수 재판관 지명’ 효력 정지…가처분 인용
- 사격훈련 중 총기사고로 20대 경찰관 사망
- ‘尹 친필 휘호석’ 골머리…검은 래커로 ‘내란’ 낙인
- [속보]“핵실험뒤 폭발사고라 하면 은폐 가능”…핵무장 주장 학자 주장
- 73세 원로급 가수의 추모앨범에 ‘누드사진 제공’ 논란
- “박나래 자체가 위험. 그렇게 방송 안돼” 프로파일러의 경고
- 아크로비스타 상가서 尹 경호한 김성훈… 돌연 사의 표명
- 이국종 “내 인생 망했다…너흰 탈 조선해라” 발언 이유는
- “일베와 연계 의심” 민주당, ‘드럼통 퍼포먼스’ 나경원, 고발
- 박지원 “무속에 관한 한덕수 부인은 ‘김건희2’ ‘김건희의 어머니’” 힐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