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글속 세상] 기획·편집도 혼자서 뚝딱… 다양한 저자 캐내는 기쁨

김지훈 2025. 4. 15. 23:2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서울 강남구의 작은 사무실에서 출판사 '몽스북'을 운영하는 안지선(49) 대표는 매월 '도끼'를 만든다.

'몽스북'은 초창기부터 마케팅 전문업체와 협업하며 견뎌냈다.

'몽스북'에서 내놓은 첫 책인 '쓸모인류'는 10여년을 알고 지내던, 서울 종로구 가회동 한옥에 사는 '빈센트' 할아버지의 일상을 담았다.

두 책은 몽스북의 스테디셀러이기도 하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1인 출판사의 세계
‘몽스북’을 운영하는 안지선 대표가 지난해 출간한 ‘읽는 기쁨’을 들어 보이고 있다. 안 대표는 2019년 출판업에 뛰어들어 다양한 작가를 발굴해 책을 내놓고 있다.


“책은 도끼다. 우리 안의 얼어붙은 바다를 깨는.”(프란츠 카프카)


서울 강남구의 작은 사무실에서 출판사 ‘몽스북’을 운영하는 안지선(49) 대표는 매월 ‘도끼’를 만든다. 2019년이었다. 18년간 일했던 잡지사를 그만두고 출판사를 차린 게. 잡지사를 다닐 때부터 사람이 가진 고유한 개성을 찾아내 ‘상품화’하는 일을 곧잘 한다는 말을 자주 들었다. 저자 발굴에 최적화한 재능이란 생각에 미련 없이 사표를 던졌다. 하지만 현실은 이상과 달랐다. 저자 발굴, 기획, 편집까지 모든 과정을 혼자 하는 1인 출판사는 쉽지 않았다. 그나마 5년간 잡지 편집장으로 일한 경험으로 버텼다.

안지선 대표가 지난 10일 서울 강남구 ‘몽스북’ 사무실에서 한정덕 대표, 김경민 과장과 회의를 하고 있다. ‘몽스북’은 초기부터 마케팅 전문 회사와 협업하며 좋은 성과를 내고 있다. 왼쪽부터 한 대표, 김 과장, 안 대표.


한 권의 책이 세상에 나오는데 짧으면 6개월, 길면 2~3년이 걸린다. 온갖 노력을 기울여 만든 책이 서점에 깔리면, 기뻐할 새도 없이 다음 단계로 돌입한다. 관심을 끌고 언론이나 SNS에 거론되도록 하는 ‘홍보의 시간’이다. 대한출판문화협회에 따르면 지난 2023년에 납본된 신간 도서는 6만2865종에 이르렀다. 아무리 좋은 책을 만들어도 6만권에 달하는 신간 사이에서 독자 눈에 띄려면 마케팅은 필수다. 더욱이 대형출판사와 경쟁을 한다는 건 달걀로 바위를 치는 격이다. 대다수 1인 출판사는 여기에서 좌절한다. ‘몽스북’은 초창기부터 마케팅 전문업체와 협업하며 견뎌냈다.

책 한 권이 탄생하는 과정은 간단하지 않다. 인쇄된 활자 하나하나를 확대경으로 살피는 것도 중요한 일이다.


‘몽스북’에서 내놓은 첫 책인 ‘쓸모인류’는 10여년을 알고 지내던, 서울 종로구 가회동 한옥에 사는 ‘빈센트’ 할아버지의 일상을 담았다. 이후 ‘쓸모’라는 단어를 넣은 책들이 심심찮게 눈에 띄었다. 첫 책의 성공으로 다양한 사람을 작가로 등단시키는 일에 자신감도 붙었다고 한다. 남다른 부부 개념을 지닌 편성준 작가의 ‘부부가 둘 다 놀고 있습니다’를 펴냈고, 광고전문가 이근상 대표의 ‘이것은 작은 브랜드를 위한 책’도 작업했다. 두 책은 몽스북의 스테디셀러이기도 하다. 개그맨 김태균, 방송인 서정희, 배우 김지호, 발레리나 김지원 등을 발굴해 그들 안에 있는 언어를 끄집어내려 했다.

안 대표가 지난 4일 경기도 파주시에 있는 인쇄소 ‘더블비’에서 인쇄된 책의 내용과 상태를 점검하고 있다.


안 대표는 작은 출판사의 가장 큰 어려움으로 ‘지속 가능성’ ‘꾸준함’을 꼽는다. 몽스북은 6년간 40여권을 출판했다. 10쇄 이상 찍은 책도 몇 권 있고, 대부분은 2, 3쇄 이상 찍었다고 하니 승률이 좋은 편이다. 안 대표는 “이 책이 성공할까? 결과를 생각하고 만들면 하기 힘든 일입니다. 노력에 비례해 꼭 좋은 결과가 나오지 않기 때문입니다. 과정을 즐겨야 꾸준할 수 있습니다”라고 말했다.

1인 출판사는 기획, 저자 발굴, 편집, 원고 감수 등을 혼자 도맡는다. 책을 찍는다고 다 팔리는 것도 아니다. 대형출판사와 경쟁하며 홍보·마케팅도 해야 한다. 이 과정을 견디며 몽스북은 6년간 40여권의 책을 세상에 내놓았다. 안 대표가 지난 10일 서울 강남구 사무실에서 지나온 시간의 결과물을 선보이고 있다.

글·사진=김지훈 기자 dak@kmib.co.kr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Copyright © 국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