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허 속 새해명절 맞는 미얀마…축제 대신 시름 안고 복구·추모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태국을 비롯한 동남아시아 여러 국가에서 새해 전통 물축제가 시작됐지만 강진으로 폐허가 된 미얀마에서는 시름 속에 복구 작업이 계속되고 있다.
14일 AFP통신과 AP통신에 따르면 지난달 28일 발생한 규모 7.7 강진으로 인한 미얀마 사망자가 3천600명을 넘어선 가운데 지진으로 집을 잃은 많은 사람이 여전히 야외에서 생활하고 있다.
미얀마 연중 최대 명절이자 축제인 띤잔이 13일 시작됐지만 올해는 지진 여파로 축제 분위기를 상상하기 어렵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방콕=연합뉴스) 강종훈 특파원 = 태국을 비롯한 동남아시아 여러 국가에서 새해 전통 물축제가 시작됐지만 강진으로 폐허가 된 미얀마에서는 시름 속에 복구 작업이 계속되고 있다.
14일 AFP통신과 AP통신에 따르면 지난달 28일 발생한 규모 7.7 강진으로 인한 미얀마 사망자가 3천600명을 넘어선 가운데 지진으로 집을 잃은 많은 사람이 여전히 야외에서 생활하고 있다.
지진 피해 지역 주민들은 식수와 식량을 얻기 위해 줄을 서고 있으며, 폭우 예보에 임시 거처마저 피해를 볼까 걱정하고 있다.
강진 직격탄을 맞은 제2 도시 만달레이에서 남쪽으로 약 100㎞ 떨어진 지점에서는 전날 오전 규모 5.5 지진이 발생하는 등 여진도 계속되고 있다.
미얀마 연중 최대 명절이자 축제인 띤잔이 13일 시작됐지만 올해는 지진 여파로 축제 분위기를 상상하기 어렵다. 복구 작업과 추모·자선 행사가 축제를 대신하고 있다.
미얀마 군사정권은 올해 띤잔 축제에 춤이나 음악 없이 평화롭게 축하하라고 명령했다.
군정은 애초 띤잔의 유네스코(UNESCO) 무형문화유산 등재를 기념해 대규모 축하 행사를 열 계획이었으나 양곤과 만달레이 등 주요 도시 행사가 대거 취소됐다.
가족 9명과 천막에서 생활하고 있는 55세 만달레이 주민은 "올해는 모두가 힘든 상황"이라며 "전통이기 때문에 꽃이 든 화분을 준비해야 하지만 마음이 무겁다"고 말했다.
그는 국가적 애도 기간임을 감안해 아이들에게 거리에서 물을 뿌리지 말라고 주의를 줬다고 덧붙였다.
4월 중순 띤잔 물축제는 미얀마 연중 최대 행사이자 축제다. 띤잔은 한국 설에 해당하는 미얀마 고유의 새해 명절이다.
이때 불운을 씻고 새롭게 태어난다는 의미로 서로 물을 뿌리는 전통이 있다. 거리에서는 물싸움과 물놀이가 벌어진다.
이웃 나라 태국의 송끄란, 라오스 삐마이, 캄보디아 쫄츠남 등이 비슷한 전통 명절이자 축제다.
미얀마 띤잔은 지난해 12월 태국 송끄란에 이어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됐다.
double@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추락 직전 기장 얼굴 묘사하라" 수도권 미대 실기 문제 논란 | 연합뉴스
- "온몸에 오물 묻고 구더기 우글"…강화도서 개 300마리 구조 | 연합뉴스
- '광복절 특사' 앞두고 우원식 의장, 교도소 찾아 조국 면회 | 연합뉴스
- 프로야구 코치가 연인 감금·폭행하고 음주 무법질주…징역 1년 | 연합뉴스
- 의정부 노인보호센터서 50대 여성 흉기 찔려 사망 | 연합뉴스
- 10차로 무단횡단 70대 치어 숨지게 한 운전자 항소심도 무죄 | 연합뉴스
- "신발로 때리던 사장님…관두겠다 하니 뜨거운 커피 던져" | 연합뉴스
- 신화 이민우 결혼…"오랜 인연과 한 가족 되기로" | 연합뉴스
- 태국-캄보디아 국경분쟁, 뿌리는 118년 전 지도 한 장 | 연합뉴스
- 행정복지센터서 "기름값 줘" 황당 요구…거절에 욕하며 '퉤' |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