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바가지요금 심하고 불친절”…중화권 관광객 불만 높아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난해 한국을 방문한 외국인 관광객들이 쇼핑을 하거나 택시를 탈 때 '바가지요금'으로 불편을 겪었다는 조사가 나왔다.
특히 중화권 여행객의 불만이 컸으며 숙박시설의 위생상태 불량과 불친절하다는 민원도 높았다.
이에 관광공사는 접수된 불만 중 대다수가 직원 태도와 바가지요금, 위생 불량인 만큼 이를 개선할 캠페인을 벌이고 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특히 중화권 여행객의 불만이 컸으며 숙박시설의 위생상태 불량과 불친절하다는 민원도 높았다.
12일 지난해 한국관광공사가 발간한 ‘관광불편신고종합분석서’에 따르면 관광불편신고센터에 접수된 불편 사항은 1543건으로 전년 대비 71.1% 증가했다.
불편 사항 중 쇼핑(398건)이 전체 25.8%를 차지해 가장 많았다. 이어 택시 309건(20%), 숙박 258건(16.7%), 공항·항공 165건(10.7%) 순이었다.
가장 많은 불만이 접수된 쇼핑의 내용을 보면 ‘가격시비(23.1%)’, ‘불친절(22.6%)’, ‘환불 및 제품 교환요청(14.6%)’ 순이었다.
택시는 전년보다 불만이 81.1% 늘었는데 ‘부당요금 징수 및 미터기 사용 거부(60.2%)’, ‘운전사 불진철(10.4%)’, ‘난폭운전 및 우회운전(8.7%)’ 순으로 나타났다.
더욱이 ‘숙박’과 관련한 신고는 전년 대비 81.7%나 늘었다. 시설 및 위생관리 불량이 가장 많았고, 예약취소와 위약금 및 서비스 불량의 민원이 다수를 차지했다.
관광공사는 코로나19 여행 행태가 기존의 단체관광객에서 개별관광객 중심으로 바뀌면서 여행사를 제외한 대부분 유형에서 불편 사항이 늘었다고 봤다.
전체 신고건수 중 외국인이 1433건(92.9%)이며 내국인은 110건(7.1%)에 그쳤다. 중화권 여행객 불만이 1022건(66.2%)으로 가장 많았다. 중국 관광객의 해외여행 수요가 전년 대비 크게 늘어났고 자유여행 방문객 증가 등이 영향을 끼쳤다.
이에 관광공사는 접수된 불만 중 대다수가 직원 태도와 바가지요금, 위생 불량인 만큼 이를 개선할 캠페인을 벌이고 있다.
한편, 지난해 방한 외국인 관광객은 1637만명으로 코로나19 이전 대비 93.5% 수준까지 증가했다. 전년 대비(1103만명)로는 48.4% 증가해 빠른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尹과 포옹한 ‘과잠’ 대학생 정체 “대통령실 요청 자유대학 학생들” - 매일경제
- 오늘의 운세 2025년 4월 12일 土(음력 3월 15일)·2025년 4월 13일 日(음력 3월 16일) - 매일경제
- “안현모랑 왜 헤어졌어?”…라이머, 취객 질문에 보인 반응 - 매일경제
- “광명 붕괴사고 2차 피해 우려…주민 2300여 명 긴급 대피” - 매일경제
- “운전대 놓으시면 50만원 줍니다”…이 동네, 보상금 5배 올렸더니 한 달만에 - 매일경제
- “비싼 돈주고 사먹을 필요없지”...다이소에 편의점까지 가성비 건기식 폭증 - 매일경제
- “우리가 왜 손해를 봐야해”...보험 가입자들 떨게하는 ‘감액이전’ 뭐길래 - 매일경제
- “큰 마음 먹고 뽑았는데”…140만대 육박하는 국내 전기차, 정비소는 태부족 - 매일경제
- ‘내비’ 믿었다가 절벽·논두렁에…‘고생길’ 없앤 현대차그룹, 알아서 척척척 [카슐랭] - 매
- 한국, 9월 미국에서 멕시코와 평가전 치르나···“멕시코는 한국, 일본 상대할 것” - MK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