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집 걸러 한집 생기는 수준...쏟아지는 건강식품 업체, 제살 깎아먹기 신세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건강기능식품 시장이 '3중고'에 신음하고 있다.
한국건강기능식품협회에 따르면 2020년 처음 5조원대로 올라선 국내 건기식 시장 규모는 2022년 6조4498억원으로 정점을 찍고, 2023년 6조1415억원, 2024년 6조440억원으로 줄어들고 있다.
이은희 인하대 소비자학과 교수는 "건기식 시장은 영세사업자부터 대기업까지 모두가 무한경쟁을 벌이는 구조"라며 "현재 상품 구성이나 판매망으로는 시장 침체를 극복하기가 쉽지 않다"고 진단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11일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건기식 유통전문판매업 등록 업체는 2019년 3247곳에서 2023년 5630곳으로 73.4% 증가했다. 매년 600개씩 늘어난 셈이다.
기존 강자인 제약업계와 현금흐름을 확보하려는 바이오기업에 식품회사와 화장품·주얼리 기업들까지 가세했다. 최근 2년간 교원, 현대그린푸드, 삼양식품 등이 건기식 유통전문판매업 신고를 마쳤다.
2019년 508곳이던 건기식 전문 제조업체는 2023년에는 591곳으로 늘었다.
치열한 경쟁 탓에 마진이 급감했다. 종근당의 건기식 자회사 종근당건강이 2016년 출시한 락토핏은 ‘국민 유산균’이라는 별명을 얻은 베스트셀러다. 하지만 2021년 6000억원을 넘었던 종근당건강의 지난해 매출은 4973억원으로 줄었다. 2023년 190억원의 영업이익은 지난해 2억원의 영업손실로 적자 전환했다. 유한양행의 건기식 자회사 유한건강생활, JW중외그룹의 JW생활건강 등도 최근 역성장이 지속되고 있다.
이은희 인하대 소비자학과 교수는 “건기식 시장은 영세사업자부터 대기업까지 모두가 무한경쟁을 벌이는 구조”라며 “현재 상품 구성이나 판매망으로는 시장 침체를 극복하기가 쉽지 않다”고 진단했다.
오상우 동국대 일산병원 교수는 “폐경기 엄마와 20대 아들이 똑같은 영양제를 먹고 있다 보니 국민이 체감하는 효과가 크지 않다”며 “전 세계가 ‘맞춤형 건기식’으로 가고 있는 만큼, 우리 기업들도 정밀 영양 연구와 맞춤형 제품 개발에 힘써야 한다”고 조언했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김 여사, 기갑차 몰아보고 싶다고해 옆에 태우고 드라이브”…경비단 전역자 주장 - 매일경제
- “그놈의 전화에 미친 시어머니…다들 이런가요?” 3년 차 새댁이 전한 고충 - 매일경제
- [속보] ‘광명 붕괴사고’ 실종자 2명 중 1명 연락닿아…“지하 고립” - 매일경제
- 술집서 브레이크 댄스 추던 20대男 …여사장에게 급소 맞았다는데 - 매일경제
- 美 대중관세 145% 발표에…의류·콘텐츠·항공주 직격탄 - 매일경제
- [속보] 中, 내일부터 미국산 수입품 관세 84→125% 상향 - 매일경제
- [속보] 尹, 한남동 관저 퇴거…886일 만에 서초동 사저 복귀 - 매일경제
- 1년+1일 일하고 퇴사, 연차수당 챙긴 직원…“괘씸하다” “자기 권리” 시끌 - 매일경제
- “안현모랑 왜 헤어졌어?”…라이머, 취객 질문에 보인 반응 - 매일경제
- 가수 김정민 아들, 일본 대표로 교체 투입 8분 만에 득점포···‘일본, 호주에 2-3 역전패했지만 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