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로에 선 LG화학 분리막 사업…중국산에 밀려 사업 철수 하나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LG화학의 분리막 사업이 고전을 거듭하고 있다.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지 못하면서 생산직 인력재배치, 미국 진출 계획 철회, 헝가리 합작공장 매각 시도 등이 이어지고 있다.
3일 배터리 업계에 따르면 LG화학은 최근 충북 청주 분리막 공장내 인력 재배치를 진행하고 있다.
이미 LG화학은 분리막 사업에 대한 추가투자를 중단한 상황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LG화학의 분리막 사업이 고전을 거듭하고 있다.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지 못하면서 생산직 인력재배치, 미국 진출 계획 철회, 헝가리 합작공장 매각 시도 등이 이어지고 있다.
3일 배터리 업계에 따르면 LG화학은 최근 충북 청주 분리막 공장내 인력 재배치를 진행하고 있다. 생산성이 떨어지는 라인의 가동을 중단하고 그 인력을 생산성이 높은 라인으로 재배치하고 있다. 2차전지 시장이 전반적으로 침체된데다, 중국산 분리막에 비해 가격경쟁력을 잃어버리면서 수요가 줄자 생산량을 줄이고 있다는 전언이다.
중국산 제품에 비해 가격차이가 커 국내 배터리사들조차 LG화학의 분리막을 외면하고 있다. LG화학은 그동안 내구성과 내열성 등을 고유 기술로 내세웠는데, 중국 회사들의 꾸준한 기술투자로 제품 퀄리티의 격차도 거의 없는 상황이다.
최근 LG그룹이 회사의 전반적인 리밸런싱을 진행하고 있는데 분리막 사업이 제1타깃이 될 것이란 관측이다. 이미 LG화학은 분리막 사업에 대한 추가투자를 중단한 상황이다. 미국 진출 계획, 일본 분리막 회사 도레이와의 헝가리 합작공장 추가투자 등은 모두 철회됐다. 도레이와 함께 헝가리 합작공장을 사모펀드 등에 매각하려고도 했지만 무산되기도 했다.
LG화학은 지난달에는 분리막 부문 사무직과 생산직 직원들을 대상으로 연이어 설명회를 열고 회사의 위기상황을 전한것으로 알려졌다. 이 자리에서 회사측은 사업 철수 가능성과 관련 현재의 어려움이 계속되면 사업을 지속하기 어려울 수도 있다는 입장을 전달했다. 배터리 업계 관계자는 "배터리 붐 시기에 동시다발적으로 사업을 벌려온 LG화학이 이제는 양극재와 같이 경쟁력이 있는 제품에만 집중적으로 투자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성상훈 기자 uphoon@hankyung.com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취업도 되고 의사 소리까지 듣는다'…5060 인기폭발 자격증
- '트럼프 관세? 오히려 좋아'…벌써부터 들썩이는 이곳
- 조진웅·이준기도 "억울해"…세금 돌려받을 수 있을까 [김익환의 부처 핸즈업]
- "결국 이럴 줄"…토허제로 아파트 누르자 뭉칫돈 몰린 곳
- "지금 안 사면 늦어요"…비수기에 더 잘 팔리는 '반전 가전'
- AI 챗봇에 '尹 탄핵 결과 어떻게 예상하나' 물어보니…
- 'K방산' 훨훨 나는데…'이대로 가다간' 대형 악재 못 피한다
- '한국 맞나' 아침부터 중국인 바글바글…강남에 무슨 일이
- '트럼프 관세? 오히려 좋아'…벌써부터 들썩이는 이곳
- 시각장애인, 안내견 데리고 붐비는 버스 오르자…'감동 사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