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금줄 끊는다" 트럼프 협박에 美컬럼비아대 "학내 시위 제한, 체포도 가능"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미국 명문 사학 컬럼비아대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자금 압박에 결국 무릎을 꿇었다.
학내 집회에 제한을 두고 체포권 있는 보안 요원을 고용하는 등 트럼프 행정부의 요구를 수용하기로 했는데, 학계와 시민사회에선 즉각 "끔찍한 선례"라며 비판이 쏟아져 나왔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다른 60여개 대학에도 영향 가능성
"자율성 제한 끔찍한 선례" 비판 쏟아져
미국 명문 사학 컬럼비아대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자금 압박에 결국 무릎을 꿇었다. 학내 집회에 제한을 두고 체포권 있는 보안 요원을 고용하는 등 트럼프 행정부의 요구를 수용하기로 했는데, 학계와 시민사회에선 즉각 "끔찍한 선례"라며 비판이 쏟아져 나왔다.
로이터에 따르면 카트리나 암스트롱 컬럼비아대 임시총장은 21일(현지시간) 학내 시위 및 항의에 대한 규정과 징계 절차를 구체화하고, 반(反)유대주의를 타파하겠다는 내용을 담은 성명을 발표했다. 트럼프 행정부의 요구 사항을 사실상 그대로 받아들인 셈이다. 로이터는 "트럼프 행정부가 최소 60개의 다른 대학에 유사한 조치를 경고했기 때문에, 컬럼비아대 결정은 광범위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컬럼비아대는 지난해 대학가를 휩쓴 친(親) 팔레스타인 운동의 선봉에 섰던 곳으로 미국 정부의 이스라엘 지원에 반대하는 목소리가 드높았다. 트럼프 행정부는 컬럼비아대가 시위를 방치하고 학생들을 숨겨줌으로써 반유대주의를 촉진했다고 비난해왔으며, 이달 초 대표 친 팔레스타인 활동가였던 한 컬럼비아대 대학원생을 체포하고 대학에 대한 지원금을 끊어버렸다. 이 영향으로 학내 과학 및 의학 연구 중 일부가 이미 중단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컬럼비아대는 학내 시위의 시간과 장소, 방식에 제한을 두기로 하고, 체포 권한이 있는 보안요원을 채용하기로 했다. 또한 대학 측은 "종교적·의학적 이유가 있는 게 아닌 경우 캠퍼스에서 마스크를 착용하는 것은 허용되지 않는다"거나, "담당자 요구시 대학 신분증을 제시하지 않으면 징계를 받거나 캠퍼스에서 쫓겨날 수 있다"는 규정까지 만들었다.
대학은 최소 5년간 중동 관련 학과에서 가르칠 내용을 감독하는 '수석 교무처장'도 새로 두기로 했다. 산하에는 중동·남아시아·아프리카 연구소(MESAAS), 중동연구소, 팔레스타인 연구센터, 이스라엘 및 유대 연구소가 포함된다. 대학 측은 "포괄적이고 균형적인 시선을 위해서"라고 설명했지만, 로이터는 "대학 행정부가 교수진 통제권을 빼앗는 행위는 흔치 않은 조치"라고 지적했다.
비난은 거셌다. 토드 울프슨 미국 대학교수협회 회장은 로이터에 "(트럼프 행정부의 요구는) 매카시 시대 이래 우리가 본 학문·언론·기관의 자율성에 대한 가장 큰 참해"라며 "끔찍한 선례를 만들었다"고 지적했다. 재학생 사이에서도 "학교가 더 많은 학생과 교수의 의견을 구했어야 한다"는 비판이 불거졌다. 개인권리및표현재단(FIRE) 측은 "막대한 자원과 영향력을 가진 컬럼비아가 언론의 자유를 위협하는 정부의 요구에 맞설 수 없다면, 다른 대학들은 어떻게 해야 하나"라며 비판을 가했다.
곽주현 기자 zooh@hankookilbo.com
Copyright © 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공개 열애' 이영자, 황동주 내조 시작 "영화 캐스팅 해달라" | 한국일보
- 한덕수 선고, 이재명 재판... 尹 탄핵 가를 초유의 '사법 슈퍼 위크' | 한국일보
- "왜 의대생만 특별대우?"··· '의대생 봐주기'에 뿔난 대학생들 | 한국일보
- 가짜뉴스 먹고 자라난 '중국 혐오 나무' | 한국일보
- [단독] 김건희 "V가 영장 걱정" 김성훈 "압수 체포 다 막겠다" | 한국일보
- 황동주, 이영자와 진짜 열애하나… 교제 질문에 내놓은 답변은? | 한국일보
- 환율전쟁 결과 어떻든 금·비트코인이 미래 수혜 자산으로 꼽히는 이유 | 한국일보
- 소진 9~15년 늦춘 국민연금··· 20·30대 "아들·딸 세대에 그러고 싶나" 분노 | 한국일보
- 크리스마스 트리 구하러 나갔다 돌아오지 못한 일가족 | 한국일보
- 김수현, 사생활 사진 공개한 가세연·김새론 유족 고발..."명백한 범죄 행위" | 한국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