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빚 2억인데 한 달에 75만원 벌어요"···20대 몰려간 온라인 쇼핑몰 폐업 속출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2030 젊은층이 많이 뛰어들고 있는 온라인 쇼핑몰 폐업이 속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달 27일 중소벤처기업부와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이 발표한 소상공인실태조사 잠정 결과에 따르면 20~30대가 가장 많이 선택하는 창업 분야는 도·소매업으로 집계됐다.
2030세대가 밀집한 도·소매업의 경우 업체당 연평균 매출액은 2억6000만원이었지만, 영업이익은 평균 2400만원에 그쳤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2030 젊은층이 많이 뛰어들고 있는 온라인 쇼핑몰 폐업이 속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달 27일 중소벤처기업부와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이 발표한 소상공인실태조사 잠정 결과에 따르면 20~30대가 가장 많이 선택하는 창업 분야는 도·소매업으로 집계됐다. 20대 이하 대표 업체는 3만개, 30대 대표 업체는 13만4000개에 달했다.
두 번째로 인기 있는 창업 분야는 숙박·음식업으로 온라인 쇼핑몰이나 음식점 등으로 창업에 뛰어드는 젊은 세대가 많다는 것을 보여준다.
창업의 주된 이유로는 "자신만의 사업을 직접 경영하고 싶다"가 가장 많았고 "수입이 더 많을 것 같다"가 뒤를 이었다.
현실은 기대와 달랐다. 2030세대가 밀집한 도·소매업의 경우 업체당 연평균 매출액은 2억6000만원이었지만, 영업이익은 평균 2400만원에 그쳤다. 월 200만원 수준의 소득이다.
가장 수익성이 낮은 업종은 정보통신업으로 업체당 평균 영업이익이 연 900만원, 월 75만원에 불과했다. 반면 평균 부채는 2억300만원에 달했다.
도·소매업 역시 상황은 비슷하다. 월 200만원의 수입에 평균 부채는 1억5300만원이었다. 모든 수입을 빚 상환에만 사용해도 완전히 갚는 데 6년 이상이 필요하다. 대부분 빚을 내 창업하지만 갈수록 빚만 늘어나는 상황에서 사업을 접는 경우도 속출하고 있다.
한편 소상공인들이 체감하는 주요 경영 어려움으로는 경쟁심화(59.1%), 원재료비(42.1%), 상권쇠퇴(36.7%), 보증금·월세(25.6%), 최저임금(14.9%) 등으로 나타났다.
중기부 관계자는 "증가한 부채와 고금리, 고물가 등으로 소상공인 경영여건이 녹록지 않았을 것"이라며 "내수활성화와 영세 소상공인 경영부담 완화를 위해 정책과 지원을 차질없이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Copyright ©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1분당 100명 마셨다'…스타벅스, 9년만 새로운 버전으로 등장하는 '이 음료'
- 故 서희원 1200억 유산 결국…구준엽과 두 자녀에 '균등 배분'
- '한국, 이대로는 위험' 경고 나오는 이유…5년 동안 인구 45만명 줄었다
- '대졸 초봉 '289만원' 드립니다'…日 대기업들이 마음 급해진 이유가
- '로또 자동 1등이 한 곳서 2명? 말도 안 돼'…다시 떠오른 '조작 음모론'
- '열차 세운 강도들 1400억어치 털어갔다'…보석도 명품도 아닌 '이것' 노렸다는데
- ''한국인은 밥심' 이젠 옛말?'…성인 8명 중 1명 밥 대신 먹는다는 것은
- '가격 6배 올려도 팔린다'…美 스타벅스서 난리난 이 제품, 한국 뜬다
- '임신 확인 시 100만 원'…한국의 소도시 '광양' 인구 증가에 주목한 외신
- '5만 원' 더 내라는 일본…'3000 원' 깎아주겠다는 한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