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이야기 잘못 꺼내면 순식간에 절교”…국민 90% “이념 갈등 최고조”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12·3 비상계엄 사태와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으로 어수선한 정국이 이어지는 가운데 지난해 시민들이 인식한 국내 갈등 상황이 극에 달한 것으로 조사됐다.
가 소장은 "남녀 갈등, 노사 갈등, 환경 갈등 등 모든 사안에 대해 진보·보수 관점에서 바라보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갈등의 이념화는 찬반 대립을 극대화하고 있다"면서 "이념이 정치뿐 아니라 사회·경제·문화 등 모든 면에 영향을 미치면서 시민들은 갈등 자체에 부정적 시각을 갖게 됐다"고 말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분쟁 상황인식 17년來 최악
좌우 대립 가장 심각히 여겨
전문가 “경제·문화도 이념戰
탄핵 결과 떠나 분열 고착화
앞으로 정부 과반지지 없을듯”
20일 단국대 분쟁해결연구센터에 따르면 지난해 국민들이 인식한 한국의 사회적 갈등 상황은 최근 17년 내 역대 최악의 수준을 기록했다. 연구센터는 2008년부터 매년 시민 1000명을 대상으로 ‘갈등·분쟁에 관한 시민의식 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지난해 말 진행된 조사에선 한국의 전반적 갈등 상황에 대해 ‘매우 심하다’고 응답한 비율이 88%로 집계됐다. 이는 연구센터가 관련 조사를 실시한 이래 가장 높은 수치로,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당시 조사인 2016년(83%)보다도 높은 응답 비율이다.
시민들이 가장 심각하게 여기는 갈등 유형은 진보·보수로 나뉘어 대립하는 이념 갈등으로 조사됐다. 이념 갈등이 ‘매우 심하다’는 응답은 2008년 28%, 2016년 50%, 지난해 74% 순으로 매년 높아지고 있다.
가상준 연구센터 소장(정치외교학과 교수)은 “2017년 박 전 대통령 파면 이후 진보·보수 모두 상대 진영에 대한 혐오감이 커졌다”면서 “이제 이념 갈등은 종교 전쟁과 유사한 형태로 이어지고 있다. 악마화, 사악화, 규범의 종말 등이 심화하면서 이념 갈등은 더욱 심해지고 있다”고 말했다.
연금개혁 등 머리를 맞대고 합리적인 해결책을 찾는 게 중요한 일반 사안마저 이념적 대립의 장으로 여겨지면서 ‘갈등이 민주주의 발전을 저해한다’는 인식이 퍼지고 있다.
지난해 조사에서 ‘갈등이 민주주의 발전에 기여한다고 보는가’라는 질문에 ‘긍정적’이라는 답변은 44.7%에 그쳤고, ‘부정적’은 51.8%를 기록했다. 2016년 최순실 게이트 당시 실시된 조사에선 ‘긍정적’이 61.0%를 나타내며 ‘부정적’ 답변(33.3%)을 압도했는데, 8년 만에 상황이 달라졌다. 과거에는 사회 갈등이 더 나은 대안을 찾는 과정의 일부로 여겨진 반면, 현재는 정치적 성향이 비슷한 이들끼리 규합해 대립한 결과로 인식되고 있다.
가 소장은 “남녀 갈등, 노사 갈등, 환경 갈등 등 모든 사안에 대해 진보·보수 관점에서 바라보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갈등의 이념화는 찬반 대립을 극대화하고 있다”면서 “이념이 정치뿐 아니라 사회·경제·문화 등 모든 면에 영향을 미치면서 시민들은 갈등 자체에 부정적 시각을 갖게 됐다”고 말했다.
지난해 조사에서 ‘정부를 얼마나 신뢰하느냐’는 질문에 ‘전혀 신뢰하지 않는다’고 답한 비율은 49.2%에 달했다. 가 소장은 “정부 신뢰도에 관한 질문은 문재인 정부나 윤석열 정부 등 각 정부를 평가하는 게 아니라 진보·보수 정부를 평가하는 질문으로 여겨지는 경향이 있다”며 “앞으로 대통령 지지율은 50%를 넘기기 힘들 것이다. 반대 이념 성향의 국민들에게 지지를 받기 어렵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념적 지향점 차이가 갈등의 도화선이자 기폭제가 되는 현 상황을 방치하다가는 정치 혼란과 국론 분열이 고착화할 수 있다는 비판이 나온다. 가 소장은 “한국 사회가 갈등 관리를 어떻게 하고 있는가에 대한 평가가 필요하다. 상황의 심각성을 인지하는 것만으로는 부족하다. 대화와 타협, 관용과 신뢰 정신을 되살리려는 사회적 노력이 뒤따라야 한다”고 말했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수십년 공들였는데”…中에 반도체 핵심기술 빼돌린 전 삼성 부장 형량이 무려 - 매일경제
- 잡아라, 7% 특별한 적금 - 매일경제
- “당장 한푼이 아쉬운데, 年 30만원 준대요”…몰라서 못 타먹는 ‘가족연금’ [언제까지 직장인
- 조지호 “尹, 덕분에 계엄 신속히 끝났다고 했지만…질책 아니었다” - 매일경제
- “운전? 이래 봬도 거뜬해”…65세 이상 기사님, 앞으로 이것 미흡하면 탈락입니다 - 매일경제
- ‘계엄 체포 대상’ 차범근 첫 심경고백...“여러분 못 만날 뻔, 울컥해” - 매일경제
- “100억 상속땐 55억원 남아”...상속세 개편의 진실 [기자24시] - 매일경제
- 열애 3년만에 중대 결정...김준호·김지민 “7월 결혼, 재미만땅 부부될 것” - 매일경제
- “국민 60%, 국민연금 소득대체율 인상 반대” - 매일경제
- LG 불펜 새 얼굴 장현식, 오른 발목 부상으로 조기 귀국 [MK현장] - MK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