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김용현 통화'는 메모도…"02:13 시간까지 기록"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앵커> 특전사 방첩부대장은 앞서 들으신 진술뿐 아니라 핵심적인 물증까지 남긴 걸로 취재 결과 확인됐습니다.
부대장은 곽종근 전 사령관이 김용현 전 장관과 통화할 때도 옆에 있었습니다.
당시 전투통제실에서 곽종근 전 사령관 옆에 있던 특전사 방첩부대장 김 모 대령은 이 조치가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 지시에 의한 것이었다고 지난해 12월에 수사기관에서 진술했습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특전사 방첩부대장은 앞서 들으신 진술뿐 아니라 핵심적인 물증까지 남긴 걸로 취재 결과 확인됐습니다. 부대장은 곽종근 전 사령관이 김용현 전 장관과 통화할 때도 옆에 있었습니다. 두 사람 사이에 군 병력을 선관위에 다시 투입한 것에 대한 이야기가 오갔고 이걸 듣던 부대장은 어이가 없어서 통화가 이뤄진 시간과 당시 상황에 대한 감정을 메모한 욕설까지 메모로 남겼습니다.
이어서 임찬종 기자입니다.
<기자>
국회에서 비상계엄 해제 의결이 이뤄진 지난해 12월 4일 새벽 1시 1분 이후, 곽종근 전 특전사령관은 국회 등에 투입된 병력에 대해 부대로 귀환하지 말고, 투입 장소 인근에 재집결해 있으라고 지시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당시 전투통제실에서 곽종근 전 사령관 옆에 있던 특전사 방첩부대장 김 모 대령은 이 조치가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 지시에 의한 것이었다고 지난해 12월에 수사기관에서 진술했습니다.
그런데 김 대령은 이후 김용현 전 장관이 곽종근 전 사령관에게 선관위에 특전사 병력을 재투입할 수 있겠느냐고 물었다는 취지로 수사기관에 진술했습니다.
김용현 전 장관이 전화로 이야기하자 곽 전 사령관이 힘없는 목소리로 "이미 국회에서 병력이 빠져나왔는데 선관위에 다시 들어가는 것은 안 될 것 같다. 죄송하다."라고 답하는 장면을 목격했다는 것입니다.
김 대령은 "사태 수습에 집중"해야 하는데 김용현 전 장관이 선관위 관련 지시를 하니 "너무 어이가 없어서 이것을 꼭 기록해 놓아야겠다고 마음먹었다"라고 진술했습니다.
그러면서 메모지에 김용현 전 장관이 전화한 시간인 새벽 2시 13분을 적어뒀고, 그 옆에 욕설과 함께 "나중에 다 수사받을 텐데…"라고 써놓았다고 수사기관에 밝혔습니다.
김 대령은 이 메모지를 수사기관에 제출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김용현 전 장관은 군의 선관위 재투입 가능성을 문의한 적이 없다고 지난달 23일 헌재에서 말했습니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병력을 재차 투입할 수 있느냐 이렇게 문의했다고 (공소장에) 기재돼 있는 것 사실 아니죠?]
[김용현/전 국방부 장관 (지난달 23일, 4차 변론기일) : 사실이 아닙니다.]
그러나 곽종근 전 사령관이 관련 문의를 받았다고 증언했을 뿐 아니라, 김 대령이 물증까지 남긴 사실이 확인된 만큼 비상계엄의 위헌성과 직결된 선관위 재투입 검토가 사실로 판단될 가능성이 커 보입니다.
(영상편집 : 전민규)
임찬종 기자 cjyim@sbs.co.kr
Copyright ©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단독] "들어가겠습니다"…"'코드원' 전화로 심각해져"
- [단독] 선관위 재투입 검토 없었다?…"02:13 시간까지 적었다"
- [단독] '북풍 의혹' 무인기…절차 없이 '날림' 도입
- "난방 시설 없어"…타이완 '북극 한파'로 하루 만에 78명 사망
- '취업 보장' 믿고 1억 넘게 냈는데…수년째 '비행낭인'
- "고깃배에서도 투약"…'베트남인 마약사범' 6배 폭증
- 역대 두 번째로 늦은 '한강 결빙'…화요일부터 추위 풀려
- "조난신호 틈도 없이" 여수 어선 침몰…4명 사망·5명 실종
- '트럼프 정부 2인자' 머스크…리스크에 테슬라 판매 급락
- 홍천서 10대 남녀 30m 아래 경사지 고립…1명 저체온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