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딥시크 충격'에 비트코인 6%·리플 12% 폭락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중국 인공지능(AI) 업체 '딥시크'가 혁신적 챗봇을 개발했다는 소식이 알려지면서 미국 기술기업의 주가가 고평가됐다는 우려가 급부상했다.
이에 미국의 지수선물이 일제히 급락했고 비트코인 등 암호화폐도 폭락하고 있다.
지수 선물과 암호화폐가 급락하는 배경으로는 딥시크의 최신 AI 모델 생산 비용이 저렴하고 접근하기 쉬운 오픈소스로 구축됐다는 점이 지목된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중국 인공지능(AI) 업체 '딥시크'가 혁신적 챗봇을 개발했다는 소식이 알려지면서 미국 기술기업의 주가가 고평가됐다는 우려가 급부상했다. 이에 미국의 지수선물이 일제히 급락했고 비트코인 등 암호화폐도 폭락하고 있다.
27일 오후 5시 현재 글로벌 코인 시황 중계사이트 코인마켓캡 등에 따르면 비트코인은 24시간 전보다 6.2% 급락한 9만8435달러를 기록 중이다. 비트코인 10만달러선이 붕괴한 것은 지난 16일 이후 이번이 처음이다.
시총 2위 이더리움도 3064달러로 8.09% 폭락했다. 시총 3위 리플도 11.93% 폭락한 2.76달러로 거래되고 있다.
같은 시각 지수 선물도 급락했다. 다우 선물은 0.90%, S&P500 선물은 1.54% 급락했고 나스닥 선물도 2.63% 급락한 것. 나스닥 선물이 2% 이상 급락하는 것은 매우 이례적인 현상으로 꼽힌다.
지수 선물과 암호화폐가 급락하는 배경으로는 딥시크의 최신 AI 모델 생산 비용이 저렴하고 접근하기 쉬운 오픈소스로 구축됐다는 점이 지목된다. 미국 기술 기업의 주가가 과대평가된 것 아니냔 우려가 급부상해서다.
실제로 뉴욕타임스(NYT)는 지난 23일 딥시크가 오픈AI와 구글 등 실리콘밸리의 거대 기업보다 첨단 칩을 적게 사용하면서도 경쟁력 있는 챗봇을 만들었다고 보도했다. 이 소식이 실리콘밸리를 강타하고 있다고 거싱 NYT의 분석이다.
김대영 한경닷컴 기자 kdy@hankyung.com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중국인 반응 폭발"…'6000만원 車' 보름 만에 13만대 팔렸다 [테슬람 X랩]
- "귀성길 휴게소서 돈까스 먹으려다…" 화들짝 놀란 까닭
- 100억 넘게 벌었는데 왜…"구조대 언제 오나" 개미들 '비명' [윤현주의 主食이 주식]
- "하마터면 회사 잘릴 뻔"…명절선물 건넸다가 '날벼락' [김대영의 노무스쿨]
- '흡연 천국' 불렸는데…"전자담배도 절대 안돼" 돌변한 나라
- "중국 이 정도일 줄이야"…사진 한 장에 전세계 '발칵'
- 돈 안 내서…박세리 이름 건 LPGA 대회 취소 '망신'
- 다이소 짝퉁인 줄 알았더니…"이건 사야 돼!" 2030 몰렸다
- "부정선거 의혹, 음지에서 양지로"?…심상찮은 분위기 [이슈+]
- "자식한테 사달라기엔"…요즘 뜨는 부모님 '설 선물' 뭐길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