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크론, 싱가포르에 HBM 공장 착공…10조원 넘게 투자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미국 메모리반도체 기업 마이크론이 약 10조원을 투입해 싱가포르에 고대역폭메모리(HBM) 전용 생산시설을 만들기로 했다.
외신은 첨단반도체 생산업체들이 미중갈등으로 인한 영향을 피하기 위해 동남아시아 투자를 늘리고 있다고 분석했다.
8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이날 마이크론은 "약 70억달러(약 10조2,200억원)를 투자해 싱가포르에 HBM 생산시설을 착공했다"고 밝혔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블룸버그 "미중갈등 피하려 동남아 진출"
미국 메모리반도체 기업 마이크론이 약 10조원을 투입해 싱가포르에 고대역폭메모리(HBM) 전용 생산시설을 만들기로 했다. 외신은 첨단반도체 생산업체들이 미중갈등으로 인한 영향을 피하기 위해 동남아시아 투자를 늘리고 있다고 분석했다.
8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이날 마이크론은 "약 70억달러(약 10조2,200억원)를 투자해 싱가포르에 HBM 생산시설을 착공했다"고 밝혔다. 마이크론은 그간 싱가포르에서 낸드플래시 반도체 공장만을 운영하고 있었다. HBM 전용 생산시설을 짓는 건 이번이 처음이다. 이날 착공된 공장은 내년 가동 시작을 목표로 하고 있다.
산제이 메흐로트라 마이크론 최고경영자(CEO)는 이날 2030년 HBM 시장이 약 25배 성장할 것이라며 HBM 생산의 중요성을 역설했다. 메흐로트라는 "시장은 2023년 40억달러(약 5조8,400억원)에서 2030년 1,000억달러(145조9,500억원) 이상으로 급성장할 것"이라며 "시장의 견고한 성장은 AI 구현에 첨단 반도체 기술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방증"이라고 말했다.
최근 글로벌 첨단 기업들은 미국의 중국 견제에 따라 동남아시아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블룸버그통신은 "마이크론은 동남아시아에 주목하고 있는 반도체 제조업체 중 하나"라며 "중국·대만 의존도를 줄이고 미중관계의 영향을 덜 받기 위해 동남아시아로 사업을 확장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실제로 대만 TSMC의 계열사인 뱅가드국제반도체그룹(VIS)과 네덜란드 반도체업체 NXP도 싱가포르에 합작법인을 세우고 78억 달러(11조3,900억원)를 투자해 반도체 웨이퍼 공장을 건설 중이다.
박지영 기자 jypark@hankookilbo.com
Copyright © 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단독] 윤 대통령 측 "공수처 수사 모두 불법… 체포돼도 묵비권 행사" | 한국일보
- 관저 안 尹 추정 남성 포착? 박지원 "걸음걸이가 딱 윤석열" | 한국일보
- 尹 탄핵 찬성 집회서 뺨 맞은 여성, 영상 공유하며 "선처 없다" 경고 | 한국일보
- 이경실, 아들 연 끊은 이유 "23세에 아이 아빠 돼… 냉정해져야 했다" | 한국일보
- '살림남2' 이희철, 갑작스러운 사망... 절친 풍자 "믿기지 않아" | 한국일보
- 작년 미수령 복권 당첨금 525억원…로또 1등도 안 찾아가 | 한국일보
- 고3 남학생들 교사 8명 불법촬영...'생리대까지 찾아내 찍어' | 한국일보
- “아빠가 못 걸어” "친구가 기절" 검사하니 독감이었다…응급실 의사의 경고 | 한국일보
- '회장님 전문 배우' 85세 박근형 실직 가장 됐다… "아직 보여주고 싶은 게 많다" | 한국일보
- "경찰특공대 헬기로 진입" "한명씩 체포 장기전" 尹 체포 방안은 | 한국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