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 투자유치 각축장 JP모건헬스케어, K-바이오 누가 가나
세계 최대 규모 제약·바이오 및 헬스케어 투자 행사인 JP모건 헬스케어 콘퍼런스가 곧 개막한다. 글로벌 주요 기업이 한자리에 모여 최신 연구 동향과 성장 전략을 공유하고 다양한 협업 기회를 모색할 전망이다. 새해 바이오 산업 투자와 관련한 아이디어를 얻을 수 있을 것이란 기대에 국내외의 이목이 쏠린다. 국내에서도 삼성바이오로직스와 셀트리온 등 기업이 줄줄이 참여를 예고한 상황이라 K-바이오의 사업 비전을 확인하는 기회가 될 것으로 보인다.
8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올해로 43회째를 맞는 JP모건 헬스케어 콘퍼런스는 오는 13~16일(현지시간)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다. 올해 행사엔 550여개 기업, 8000명 이상이 참석할 예정이다.
JP모건 헬스케어 콘퍼런스에선 글로벌 빅파마(대형제약사) 등 주요 제약·바이오 기업의 최신 연구 흐름과 사업 계획을 엿볼 수 있다. 매년 1월에 열리는 행사라 그해 바이오 투자의 방향성을 살필 수 있는 글로벌 행사로 주목받는다. 워낙 많은 기업의 관계자가 동시다발적으로 참여하다 보니 전략적으로 기술이전 거래나 공동연구 계약이 이뤄지는 사례도 적지 않다.
특히 올해 JP모건 헬스케어 콘퍼러스는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2기 행정부의 헬스케어 관련 정책에 대한 논의도 진행될 것으로 전망된다는 점에서 더 관심을 끈다. 미국의 생물보안법(Biosecure Act)과 인플레이션감축법(IRA), 관세정책 등에 대한 전망과 영향, 이에 따른 주요 기업의 대응 전략 등을 살필 수 있을 것으로 관측된다.
정유경 신영증권 연구원은 "JP모건 헬스케어 콘퍼런스는 글로벌 제약사의 연간 전략 및 전망을 확인할 수 있는 자리"라며 "정책적 불확실성이 지속되는 가운데 글로벌 제약사가 선제적으로 발표할 경영 방향성이 (올해 바이오 투자의) 1차 바로미터가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국내에서도 다수 기업이 행사에 참여하며 투자심리를 끌어올릴 것으로 전망된다. 국내 바이오 대표 기업이라 할 수 있는 삼성바이오로직스와 셀트리온은 나란히 JP모건 헬스케어 콘퍼런스 메인 트랙에 선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올해로 9회 연속 JP모건 헬스케어 콘퍼런스에 공식 초청받았다. 존림 삼성바이오로직스 대표가 직접 무대에 올라 바이오의약품 생산능력 확대와 ADC(항체약물접합체) 전용시설 등과 관련한 중장기 성장 전략을 발표할 예정이다.
셀트리온은 서정진 회장과 서진석 경영사업부 대표가 함께 신약 파이프라인의 개발 성과와 비전 등에 대해 공유할 계획이다. 특히 ADC와 다중항체 기술을 접목한 13개 신약 파이프라인의 연구 전략을 공개하며 글로벌 신약 개발 바이오 헬스케어 기업으로 거듭나겠단 포부를 밝힐 것으로 기대된다.
또 롯데바이오로직스는 인천 송도 캠퍼스와 미국 ADC 생산설비에 대해, 휴젤은 해외 각 지역에 대한 진출 전략에 대해 발표할 예정이다. 이 외에도 유한양행과 SK바이오팜, 한미약품, 에이비엘바이오, 티움바이오, 클래시스, 브릿지바이오 등 여러 기업이 현지에서 국내외 협업 기회를 마련하기 위해 힘쓸 계획이다.
정이수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올해 JP모건 헬스케어 콘퍼런스는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을 앞두고 관련 내용이 다뤄질 수 있을 것"이라며 "국내 참석 기업들의 가시적인 성과 도출 시 섹터 전반에 긍정적 효과로 작용할 것으로 판단한다"고 예상했다. 또 "이미 글로벌 빅파마와 파트너십을 맺은 국내 기업의 경우 빅파마의 발표 내용을 통해 신약 파이프라인의 방향성을 간접적으로 확인하는 기회가 될 것"이라며 "국내 기업은 현장에서 파트너십, 기술이전 등에 대한 논의를 모색할 예정으로 향후 신규 계약 체결을 기대할 수 있다"고 권고했다.
업계 한 관계자는 "JP모건 헬스케어 콘퍼런스에 초청받지 못했어도 다수의 빅파마와 바이오텍(바이오 기술 기업)의 담당자들이 같은 기간 샌프란시스코에 모이기 때문에 바이오텍쇼케이스 등 다른 행사에서 파트너십이 논의되기도 한다"며 "행사에 앞서 대규모 딜(거래)이 발생할지 여부, 또 빅파마 등의 연간 사업 개발 방향성 등 발표에 주목하자"고 조언했다.
김도윤 기자 justice@mt.co.kr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 황현희, 숨만 쉬어도 월급이…'100억 자산가' 된 비법 공개 - 머니투데이
- 이미도 "전직 에로배우 역…노출신 촬영, 스태프 아무도 안 나가" - 머니투데이
- '풍자 절친' 이희철 사인은 심근경색…"건강했는데 갑작스레 떠났다" - 머니투데이
- '왕따설' 베이비복스 윤은혜 직접 입 열었다…"언니들에 미안" - 머니투데이
- "간첩 사형" 계엄 옹호→해고…극우 명단 오른 차강석 "감사, 멸공" - 머니투데이
- 탁재훈, 母적금 깨서 세금 납부?…"완전 쓰레기네" 아우성 - 머니투데이
- 이재명 대통령 "이 많은 사람들이, 아무도 모른다?"…초긴장 국무회의 - 머니투데이
- 지게차에 묶였던 이주노동자 "가해자 처벌 원하지 않아"…왜? - 머니투데이
- 어차피 금리동결, 중요한 건 파월 발언…경계감 보인 증시[뉴욕마감] - 머니투데이
- '부채 마지노선' 직면한 SK온, '실탄' 마련 나선 SK이노 - 머니투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