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證 “LG생활건강, 중국 경기부양 수혜 지켜봐야… 투자의견 ‘중립’”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삼성증권은 17일 LG생활건강에 대해 중국 경기 부양 수혜가 구체화될 때까지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분석했다.
삼성증권은 LG생활건강이 화장품 사업의 경우 여전히 주력 시장인 중국 럭셔리에 집중하며 리브랜딩 중으로, 면세 매출 감소분 이상으로 성장이 나오지 않은 상태라고 봤다.
삼성증권은 중국 럭셔리 시장에서 경기 부양책 수혜가 구체적으로 LG생활건강에 적용되는지 살펴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삼성증권은 17일 LG생활건강에 대해 중국 경기 부양 수혜가 구체화될 때까지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목표 주가 37만2000원, 투자 의견 ‘중립’을 제시했다. 전 거래일 LG생활건강의 종가는 35만4000원이다.
삼성증권은 LG생활건강이 화장품 사업의 경우 여전히 주력 시장인 중국 럭셔리에 집중하며 리브랜딩 중으로, 면세 매출 감소분 이상으로 성장이 나오지 않은 상태라고 봤다. 북미와 일본 시장 내 성장세도 아직 미미하다. 국내는 가맹 사업을 철수한 이후 본격적으로 온라인 및 헬스앤뷰티(H&B) 부분을 육성 중이다.
이가영 삼성증권 연구원은 “국내외 화장품 사업 모두 전략을 재정비 중이나, 단기간 내에 가시적인 실적 반전이 기대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중국 현지에서 브랜드 가치를 보호하는 데 집중하는 대신 면세 채널은 다소 소극적인 대응 중이고, 미주 사업은 수익성 위주의 구조조정을 한 뒤 인수한 저수익 브랜드보다는 기존 본사 브랜드를 강화하는 것으로 전략을 수정했다”고 설명했다.
생활용품 부문은 마스크 수요가 폭증했던 팬데믹 특수가 사라진 뒤 매출과 수익성이 하향 안정화됐다. 음료 부문은 내수 소비 부진으로 회복이 더딘 모습이다. 삼성증권은 LG생활건강의 추가적인 모멘텀(상승 여력)은 아직 부족하다고 판단했다.
이 연구원은 “생활용품은 가격 민감도가 높은 제품 특징상 공격적인 실적 성장 동력이 되기는 어렵다”며 “음료는 평년 대비 높았던 올여름의 기후, 내수 소비 부진 영향으로 3분기 매출액이 전년 동기 대비 역성장할 것”이라고 말했다.
삼성증권은 중국 럭셔리 시장에서 경기 부양책 수혜가 구체적으로 LG생활건강에 적용되는지 살펴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연구원은 “집중하기로 한 중국 럭셔리 시장에서 경기 부양책의 수혜가 일부 기대되는 만큼 정책 효과가 실적 개선으로 드러날 때까지 지켜볼 것을 권고한다”고 했다.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연구는 좋지만, 정착은”…이스라엘 인재 영입해 놓고 전월세 설명 안 해
- “조종사가 오른쪽 엔진 끄려다, 왼쪽을 껐다”… 제주항공 사조위 결론 근거는?
- [르포] 단통법 폐지되자 창원·원주서도 ‘갤럭시S25′ 공짜… 통신사 직영점에선 “추가지원금
- [특징주] 냉동 김밥 업은 풀무원, 실적 기대감에 20% 급등
- 16.4조 ‘물 배터리’ 양수발전 시장 열렸다… 건설 빅4 수주전 치열
- “현금 깡·피부과 시술까지”...무색해진 ‘민생회복 소비쿠폰’
- 관급 공사 6개월 막힌 전력기기 업체… 매출 수천억원 타격
- 방시혁에 적용된 ‘사기적 부정거래’ 혐의… 법조계는 “자본시장법보다 ‘형법상 사기’ 따
- [르포] “여긴 소비쿠폰 못 써요?” 오락가락 사용처에 헷갈리는 시민들
- [당신의 생각은] 기초수급자 소비쿠폰 선불카드에 ‘43만원’ 인쇄… “쿠폰 쓸 때마다 불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