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핵심 원자재 中 의존도 더 높아졌다"
반도체 핵심 원자재의 중국 수입 의존도가 전년보다 높아졌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한국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가 24일 낸 이슈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반도체 핵심 원자재의 최대수입국(중국) 의존도가 2022년보다 상승했다. 구체적으로 반도체 생산 과정에서 미세한 회로가 새겨진 실리콘 웨이퍼를 만드는 '실리콘'의 중국 수입 의존도는 2022년 68.8%에서 지난해 75.4%로 올랐다. 반도체 핵심 투입물 주재료의 4분의 3을 중국에 의존한 것이다.
같은 기간 반도체 연마재에 쓰이는 희토류는 61.7%로 2.1%포인트, 반도체 금속 배선 원료인 텅스텐은 68.6%로 0.4%포인트 각각 의존도가 높아졌다. 차세대 화합물 반도체에 사용되는 게르마늄은 74.3%로 17.4%포인트, 갈륨과 인듐은 46.7%로 20.5%포인트 상승했다. 6대 핵심 원자재 가운데 불화수소의 원료인 형석만 47.5%로 2.4%포인트 하락했다.
글로벌 공급망 재편으로 우리 기업의 중국 현지 직접투자가 사실상 중단된 상황에서도 핵심 광물의 중국 수입 비중은 오히려 확대된 셈이다. 연구소는 “반도체의 모든 원자재 수입 편중도가 매우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고 최대 의존국이 모두 중국으로 나타났다”고 했다. 특히 갈륨ㆍ게르마늄과 희토류는 각각 지난해 8월과 12월에 중국의 수출 통제가 시행됐지만, 대중국 수입 의존도가 오히려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
주요 기업의 중국 현지 생산도 특별히 줄지 않았다. 삼성전자의 낸드플래시 중국 시안공장 생산 비중은 2021년 29%, 2022년 36%, 2023년 37%로 지속 상승했고 올핸 40%를 기록할 전망이다. 같은 기간 SK하이닉스의 D램 중국 우시 공장 생산 비중은 49%·47%·42%로 하락세였으나 올해에도 40% 선을 웃돌 것으로 보인다.
이는 미국 반도체법 가드레일 조항 등에 의한 글로벌 첨단산업 공급망 재편 과정에서 이례적인 상황으로 평가된다. 반도체 분야의 중국 해외직접투자(FDI) 비중은 2022년 80.8%에 달했지만 지난해 0.8%로 떨어졌다. 국내 기업이 중국에서 추가 사업 확장이나 설비 투자를 전면 중단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연구소는 향후 공급망 정책 방향과 관련해 “효율적인 정책 설계와 성과 추적을 위한 정보 체계가 필요하다”고 제안하면서 “산업 정책이 국익과 연결될 수 있도록 주요국의 방향성과 국내 경제·산업 강점을 고려한 설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곽재민 기자 jmkwak@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세무서, 죽을 때까지 본다"…자식 1억 빌려줄 때 남길 증거 | 중앙일보
- 문세윤 "치어리더와 결혼, 유독 김태균 심하게 반대했다" | 중앙일보
- "김태희, 돈봉투 두고 간다"…연예인이 사랑한 '그 골프장' | 중앙일보
- "철창방에 12세 여자…싼 값에 재미 누린다" 동남아 성매매 충격 | 중앙일보
- 국회서 입 연 정몽규 "음모 꾸민 적 없다…홍명보에겐 미안" | 중앙일보
- "분명히 이종석 봤다"…'아이유와 결별설' 잠재운 장소 어디? | 중앙일보
- '어벤저스' 수현과 5년 만에 이혼…사업가 차민근 대표는 누구 | 중앙일보
- 중요 부위에 필러 맞았다가 날벼락…괴사로 80% 절단한 남성 | 중앙일보
- "내 인생의 천운"…한라산서 쓰러진 여성, 30분 업고 뛴 영웅 | 중앙일보
- "남친이 준 젤리 먹고 머리 아파" 경찰에 전화…알고보니 | 중앙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