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민이 제놀루션 연구소장 “꿀벌 사라지면 생태계도 위협”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토종벌이 사라지고 있다.
2010년부터 낭충봉아부패병이 아시아 전역에 창궐하면서 토종벌의 90% 이상이 사라졌다.
유전자 치료제 전문기업 제놀루션은 지난달 농림축산검역본부로부터 낭충봉아부패병 바이러스 예방 및 치료제인 '허니가드-R'액의 품목허가를 받았다고 밝혔다.
김 소장은 "먼저 토종벌 유충을 통해 낭충봉아부패병을 일으키는 바이러스의 리보핵산(RNA)을 발굴했다"며 "이후에는 야외 농가를 대상으로 실증실험을 진행했다"고 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낭충봉아부패병은 현재 진행형이다. 토종벌이 사라진 자리에는 서양벌이 대체되고 있다. 서양벌은 아직 낭충봉아부패병에 저항력이 강하지만, 언제든 변이 바이러스가 창궐할지도 모르는 상황이다.
이어 김 소장은 RNAi 기술에 대해 “염기서열을 분석해 특정 질병에 대한 유전자 발현을 억제하는 기술로 인체나 토양 등 환경에 부작용이 없다”며 “또한 염기서열을 분석한 데이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변이 바이러스가 나타나도 빠르게 대응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김 소장은 “낭충봉아부패병의 경우 관련 연구가 많지 않아 어떻게 임상실험을 해야할 지 어려운 순간이 많았다”고 소회했다.
김 소장은 “허니가드 치료제는 낭충봉아부패병 발병 이전에 예방적 효과가 더 좋다”며 “봄과 가을에 각각 2주 간격으로 3회를 투약한다. 즉, 1년에 총 6회 투약하는데 설탕물에 치료제를 타 벌통안에 넣으면 간단히 끝난다”고 설명했다.
제놀루션이 설립된 연도는 2006년이다. 제놀루션은 RNA를 추출하는 장비와 시약 개발하는 사업에 뛰어들어 2020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팬데믹 당시 자체 개발한 자동화 핵산추출기로 큰 성공을 거둔 바 있다.
김범수 기자 sway@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미쳤다’ 소리 들었는데…“현금 1억이 30억 됐네요”
- “부자는 다르네”…1000억 재산 서장훈, 이상민 재혼에 건넨 통 큰 축의금 액수
- 중2 딸 입에서 나던 사탕 냄새…알고 보니 전자담배?
- 정우성, 혼외자 출산 문가비 아닌 연인과 혼인신고?…소속사 "확인 중"
- “시아버지와 혼인신고 X족보 됐다”...안동서 실제 벌어진 일
- 꽁꽁 숨겼던 조세호 아내 얼굴 공개됐다...174cm 슈퍼모델 출신
- “여관 골방에 살았다”…홍자, 가족 위해 버틴 무명 8년 고백
- 결별하자마자 열애설 터진 이미주, 전남친 충격 만행 폭로
- 남편 도경완 불치병 진단 3달 만에 장윤정도 시술…이게 다 무슨 일?
- “이규혁한테 속았다, 결혼 후회” 손담비, 눈물 쏟으며 밝힌 남편 ‘만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