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골공약이던 ‘모병제’… 이번 선거엔 녹색정의당 유일 [심층기획-22대 총선 공약 점검]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제22대 총선을 앞두고는 선거철 단골 공약 중 하나인 '모병제' 공약이 눈에 띄지 않는다.
7일 기준 국회 원내 정당이 발표한 총선 공약 중 모병제에 대한 공약은 녹색정의당에서 내건 '한국형모병제' 공약이 유일하다.
한국형 모병제는 지난 대선에서도 정의당 심상정 후보가 내건 공약으로 2029년까진 12개월 복무하는 징집병과 4년 복무하는 전문병사를 혼합 운영하고 2030년도에는 징집병 제도가 소멸되고 전원 모병으로 전환되는 방식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병사 구인난에 징병제 복귀 국가 늘어
병무청 “모병제 검토 안해… 시기상조”
제22대 총선을 앞두고는 선거철 단골 공약 중 하나인 ‘모병제’ 공약이 눈에 띄지 않는다. 모병제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과거보다 줄어들고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징병제 재전환의 대외적인 이유는 러시아 등의 안보위협이지만 대내적으로는 목표한 수만큼 병력을 충원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스웨덴은 2010년에 모병제를 도입했고 매년 5300명을 모집하고자 했으나 도입 첫해부터 지원자가 2400명에 불과했다. 결국 징병제 재도입 여론이 높아졌고 2018년 징병제로 전환하며 매년 4000∼6000명의 병력을 충원했다. 러시아의 위협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동유럽 국가뿐만 아니라 독일과 프랑스 서유럽 국가에서도 징병제 재전환을 논의하고 있다. 독일의 경우 모병제 도입 이후 병력충원 수준이 기대보다 낮아 정치권에서 징병제 논의가 이뤄지고 있다. 독일 정부는 2025년까지 20만3000명의 병력을 구성하고자 했으나 2019년 병력은 18만1000명, 2022년 5월에도 18만4000명에 불과했다.
이 같은 이유로 이기식 병무청장도 모병제에 대해선 시기상조라는 입장을 밝혔다. 이 청장은 전날 서울 용산구 국방컨벤션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모병제나 여성징병제에 대해 “전혀 검토한 적이 없다”며 “우리나라 모병제 여성징병제 도입하는 것은 시기상조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구현모 기자 lil@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55세에 손녀 같은 막내딸까지 얻었는데…이혼설 터진 신현준, 진실은?
- “운동 다녀올게” 집 나선 40대女 참변…30대男 “너무 힘들어서”
- ‘78세’ 김용건, 붕어빵 늦둥이 아들 공개? “역시 피는 못 속여”
- “돈독 올랐다” 욕먹은 장윤정, ‘진짜 돈독’ 오른 사정 있었다
- “내 콩팥 떼어주면 돼” 언니에게 선뜻 신장 내어준 동생
- “개보다 못해” 아내에 피살된 유명 강사…백종원 피고발 [금주의 사건사고]
- 누군지 맞히셨어요?…아기 때 얼굴 전혀 없다는 유명 방송인
- “이제 10억으론 어림도 없어요”
- “한국인 45만명 사라졌다”…무슨 일이?
- "남자한테 참 안 좋은데~"… 우리도 모르게 섭취하고 있는 '이것' [수민이가 궁금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