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깜깜이' 지역주택조합 퇴출…서울시, 국토부에 관련법 개정 건의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서울시가 조합원에 피해를 끼치는 지역주택조합(지주택)은 퇴출할 수 있도록 관련 법 개정을 추진한다.
한병용 서울시 주택정책실장은 "조합원이 지주택 사업 추진방식에 대해 잘 알지 못한다는 점을 악용해 피해를 주는 지주택은 더 이상 유지되어선 안 된다"면서 "이번 주택법령 개정 건의 외에도 시가 자체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사항을 지속 발굴하여 개선해 나가고, 강도 높은 실태조사 및 점검을 주기적으로 실시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시가 조합원에 피해를 끼치는 지역주택조합(지주택)은 퇴출할 수 있도록 관련 법 개정을 추진한다.
시는 29일 사업지 직권해산 도입, 실태조사 결과 공개 법제화 등 지주택 관련 법 신설 및 개정을 국토교통부에 요청했다고 밝혔다.
우선 시는 주택법령에서 정한 일몰기한이 지난 뒤에도 사업 진척이 없는 지역주택조합을 구청장 권한으로 직권해산할 수 있게 해달라고 건의했다. 장기간 운영하지 않았음에도 지속적인 비용 지출로 조합원 피해를 키운 사례가 적지 않았기 때문이다. 현행 주택법에서는 일정 기간 내 조합설립인가를 못 받거나 사업계획 승인을 받지 못한 경우 총회를 거쳐 해산(사업종결) 여부를 정하게 되어있다.
투명한 조합 업무를 위해 지주택 실태조사 및 결과 공개 법제화도 요청했다. 시는 2021년부터 지주택 운영에 관한 실태조사를 시행해왔으며 지난해 총 111개 지주택 전수조사를 통해 운영 규정을 어긴 82곳을 적발해 처분한 바 있다.
또 표준화된 조합가입계약서와 사용권원 동의서 도입으로 조합원·소유자 권리를 보호하고 총회 의결 의무 위반 시 처벌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는 등 주택법령 의무를 강화해야 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업무대행자 선정절차 마련도 촉구했다. 조합설립인가 전 모집주체 단계에서 선정하는 것이 아니라 총회 의결 후 ‘경쟁입찰’ 방식으로 선정해 역량 있는 업무대행자를 정하자는 것이다.
한병용 서울시 주택정책실장은 “조합원이 지주택 사업 추진방식에 대해 잘 알지 못한다는 점을 악용해 피해를 주는 지주택은 더 이상 유지되어선 안 된다”면서 “이번 주택법령 개정 건의 외에도 시가 자체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사항을 지속 발굴하여 개선해 나가고, 강도 높은 실태조사 및 점검을 주기적으로 실시할 것”이라고 말했다.
권현지 기자 hjk@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심하면 48시간 이내 사망"…바닷물에 발 담갔다가 이것 감염 - 아시아경제
- "매주 금요일에도 쉰다"…7월부터 '주 4일제' 시행하는 이 회사 - 아시아경제
- 7월 日대지진 현실화?…'전설의 물고기' 부산서 5마리 잡혔다 - 아시아경제
- "벼락 거지 될 순 없어" 서울 안 살아도 '서울 아파트'만 산다 - 아시아경제
- 청와대 오찬 간 신현준…李대통령과 찍은 사진 올리며 6·25 참전 父 기려 - 아시아경제
- 국토부 장관 하마평 인사들 부동산 까보니…여의도·용산·송파 재건축 다 있네 - 아시아경제
- '끄적끄적' 공부 흔적 남은 노트, 1억 넘게 거래됐대요 - 아시아경제
- 삼성로부터 교촌로까지…도로에 새긴 브랜드의 힘 - 아시아경제
- 권성동 팔 툭 친 李대통령…무슨 말 했길래? - 아시아경제
- 위용 드러낸 시속 100㎞ 30t급 수륙양용 'K장갑차' - 아시아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