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기처럼 이착륙, 제트기처럼 순항…세상에 없던 ‘별종 비행체’ 성큼
제트엔진 가동…시속 833㎞ 고속 비행
좁은 공간에서 뜨고 내리는 헬기와 고속 비행이 가능한 제트기의 장점을 합친 ‘하이브리드 항공기’가 곧 등장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미국 민간항공기업 벨은 최근 좁은 공간에서 수직으로 이륙한 뒤 일단 공중에 뜨면 제트엔진을 켜 빠르게 비행하는 신개념 항공기를 만들기 위한 주요 지상 시험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벨은 이 새로운 비행체에 ‘고속 수직이착륙기(HSVTOL)’라는 이름을 붙였다. HSVTOL은 벨이 미 국방부 소속 방위고등연구계획국(DARPA)과 협력해 개발하고 있다.
벨이 자사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한 HSVTOL 항공기의 지상 시험 영상은 특이하다. 미 뉴멕시코주 홀로만 공군기지에서 촬영된 이번 영상은 광활한 평지에 놓인 긴 철로에서 시작한다. 철로 위에는 소형 기차가 서 있다. 기차 정면에는 길이 약 1m짜리 블레이드 3개로 이뤄진 회전 날개가 달려 있다.
회전 날개가 돌아가자 추진력이 생긴 기차가 앞으로 달리기 시작한다. 그러다 특정 속도에 이르자 회전 날개는 작동을 완전히 멈춘다.
가장 특이한 움직임은 바로 그 다음이다. 회전 날개를 이루는 블레이드 3개가 세찬 바람을 만난 풀처럼 후방을 향해 일제히 눕는다. 그런데도 기차는 속도를 더욱 붙이면서 나아간다.
이 지상 시험은 벨이 개발한 통합 추진 기술을 확인한 것이다. 출발할 때에는 회전 날개의 힘으로 나아가다가 특정 속도에 이르면 회전 날개가 작동을 정지하는 것은 물론 전체 덩치까지 최소화해 공기 저항을 줄인다. 그 다음에는 제트엔진을 켜 강한 추진력을 얻는 절차를 시험한 것이다.
벨은 HSVTOL 기술을 실용화하면 혁신적인 비행을 구현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날개를 돌려 동체를 수직으로 공중에 일단 띄운 뒤 순항에 들어가기 전 날개를 완전히 접고나서 제트엔진을 켜는 것이다. 벨은 제트엔진의 힘으로 최고 시속 833㎞로 비행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 프로펠러에 의지해서는 대개 시속 500㎞ 이상으로 속도를 높이기가 어렵다.
벨은 HSVTOL의 최대 탑재중량을 2300㎏으로 잡고 있으며, 소형 승용차 한 대를 실을 덩치로 내부 공간을 설계하고 있다.
HSVTOL은 전장에 군인을 긴급 투입하거나 재난 현장에 구조대원을 급파할 때 사용하기에 좋다. 활주로가 없어도 얼마든지 뜨고 내릴 수 있는데다 비행 속도가 일반적인 제트기처럼 빠르기 때문이다. 벨은 “이번 지상 시험은 미래 군용기를 위한 중요한 발전 단계”라며 “향후 실험용 항공기를 설계·제작해 실제 비행하는 것을 목표로 개발을 진행하겠다”고 설명했다.
이정호 기자 run@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구윤철 “코스피 PBR 10” 오답에…“경제 수장이 어떻게 모르나” 개미들 부글부글
- [속보]이 대통령·여당 지도부 만찬 “검찰 수사·기소 분리 ‘정부조직법 개정안’ 추석 전 마련
- 법원 “윤석열 ‘바이든-날리면’ 소송, 외교부가 취하하라” 강제 조정 결정
- [속보]‘이재명 소년원’ ‘김혜경 낙상사고’ 허위 유포 강용석·김세의 1심 벌금형
- ‘케데헌’ 감독 만난 이 대통령 “호랑이 ‘더피’의 해학은 우리의 힘”
- [Q&A] 카드 소비 늘면 최대 30만원 환급 ‘상생페이백’···어떻게 받나요
- 미·러·우 3국 정상회담, 헝가리 부다페스트 개최 유력
- ‘성매매 여성의 변호사’ 폭력적 성산업 수술할 메스 쥐나
- 청도 열차 사고 당시 노동자들 대피 공간 충분치 않았다…경찰, CCTV 등 입수해 원인 규명
- 인간의 미래는 동물과의 혼종? 핵전쟁 후 디스토피아 신인류 그린 베르베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