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지율 하락에 ‘영부인 리스크’… 尹, 발길 무거운 네덜란드 순방
윤석열 대통령의 11일 네덜란드 방문은 1961년 양국 수교 이후 한국 대통령으로는 첫 국빈 방문이다. 하지만 정가에선 “전용기에 오르는 윤 대통령 마음이 가볍지만은 않을 것”이란 말이 나온다. 총선이 4개월 앞으로 다가온 시점에서 윤 대통령 앞에 놓인 국내 정치 상황이 녹록지 않기 때문이다.
우선 최근 발표된 주요 여론조사 결과를 보면 윤 대통령 지지율은 30%대 초반에 머물고 있다. 케이스탯·엠브레인·코리아리서치·한국리서치 등 4개 조사 회사가 지난 7일 발표한 공동 전국 지표 조사(NBS)에서 윤 대통령의 국정 운영 긍정 평가는 올해 들어 가장 낮은 32%였다. 직전 조사인 2주 전보다 3%포인트 떨어졌다. 윤 대통령은 2주 전인 지난달 26일 영국 국빈 방문 등을 마치고 귀국했지만, 외교 활동 뒤 지지율이 일정 정도 상승하는 ‘순방 효과’를 거의 보지 못하고 있다. 여권 관계자는 “최근엔 엑스포 탈락 여파도 있다”면서도 “일본과의 관계 정상화, 워싱턴 선언 등 윤 대통령의 성공적 외교 성과가 지지율로 제대로 연결되지 않는 점엔 분명 아쉬움이 있다”고 했다.
이에 대해 대통령실 관계자는 “안보·경제 복합 위기 속에 공급망 등 글로벌 질서가 재편되는 상황에서 동맹·파트너십을 강화하기 위한 정상 외교 필요성이 컸다”고 했다. 윤 대통령이 지난 3월 일본을 방문해 한일 정상 간 셔틀 외교를 복원했고 4월에 미국을 국빈 방문해 한미 동맹을 강화한 데 이어 지난 8월엔 미국을 다시 방문해 한·미·일 3국 정상 회의를 열며 3국 협력 강화 모멘텀을 만들어냈다는 것이다. 여기에 우크라이나 전쟁 등으로 국제 정세가 요동치는 상황에서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동남아국가연합(ASEAN), 아시아·태평양 경제협력체(APEC), 20국(G20) 등 다자 협력체 정상 회의에 참석할 필요성도 컸다는 게 대통령실 설명이다.
윤 대통령은 네덜란드 방문을 포함해 취임 후 20개월 차가 되는 이달까지 총 16차례(올해 13차례) 해외 방문을 한다. 같은 기간 이명박 전 대통령은 16회, 문재인 전 대통령은 15차례 해외를 다녀왔다. 사실상 과거와 비슷한데도 야당은 “해외 순방이 너무 잦다는 인상을 준다”고 비판하고 있다. 특히 올해 방문에 책정된 예산 249억원을 다 쓰고 예비비 329억원까지 추가로 끌어쓴 점을 공격하고 있다.
윤 대통령은 최근 대통령실 수석비서관 전원을 교체하고 장관 7명(방송통신위원장 포함)을 새로 지명하는 개각을 했다. 더불어민주당의 연말 대여(對與) 총공세에 맞서 진용을 정비하겠다는 복안이었다. 그러나 민주당은 윤 대통령이 네덜란드 방문을 마치고 돌아오면 일명 ‘김건희 특검법’ 등 쌍특검을 연말 국회에서 밀어붙이려 하고 있다. 여권에선 “정치 공세”라며 윤 대통령의 거부권 행사를 거론한다. 하지만 최근 김 여사 관련 명품백 수수 논란이 불거지는 등 이른바 ‘김건희 리스크’가 거론되면서 윤 대통령에게 정치적 부담이 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김 여사는 윤 대통령 해외 순방에 모두 동행해왔는데 영국 국빈 방문 때처럼 이번 국빈 방문 때도 화려한 의전이 예정돼 있다. 여권에선 “국익 외교의 본질보다 여사를 둘러싼 가십거리가 부각되면서 부담되는 측면도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WSJ “韓대행 탄핵은 양당 협력 실패 결과”... 외신들도 긴급 타전
- [오늘의 운세] 12월 29일 일요일 (음력 11월 29일 丁卯)
- 복통에 장염 증상? 궤양성대장염 의심해 보세요
- [오늘의 운세] 12월 28일 토요일(음력 11월 28일 丙寅)
- KBS “박서진, 합법적 군면제…도덕·법률적 문제 없다”
- 한덕수 “더 이상 혼란 안 돼… 직무 정지하고 헌재 결정 기다릴 것”
- 세종시 중학생 3명 브리지 유소년 국가대표로 세계대회 첫 출전
- Small firms caught off guard as South Korea ends 52-hour workweek exemption
- 韓대행 탄핵안 본회의 통과... 초유의 ‘대행의 대행’ 체제로
- 신화 이민우에게 26억원 뜯은 방송작가, 대법 ‘파기환송’ 이유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