낮엔 얼음골·밤엔 문화재야행…밀양에서 즐기는 늦여름 추억

이정훈 2023. 8. 19. 08:2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낮에는 얼음골에서 막바지 무더위를 쫓고 밤에는 문화재야행을 즐긴다.

제1회 '얼음골 냉랭(冷冷)한 축제'가 19일 경남 밀양시에서 개막했다.

한낮 얼음골에서 무더위를 잊고 즐겼다면 밤에는 밀양문화재야행이 시민, 관광객을 기다린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얼음골 냉랭한 축제 19∼20일·밀양문화재야행 18∼20일
한여름 밀양 얼음골 온도 한여름인 지난 8월 3일 밀양 얼음골 바위틈에 놓인 온도계는 0도를 가리키고 얼음 알갱이를 볼 수 있다. [연합뉴스 자료사진]

(밀양=연합뉴스) 이정훈 기자 = 낮에는 얼음골에서 막바지 무더위를 쫓고 밤에는 문화재야행을 즐긴다.

제1회 '얼음골 냉랭(冷冷)한 축제'가 19일 경남 밀양시에서 개막했다.

20일까지 이어지는 축제 주 무대는 밀양시 산내면 얼음골 일대.

산내면 재약산 북쪽 중턱 해발 600∼750m 계곡에 얼음골이 있다.

밀양시 청년후계농들이 작은 음악회, 물총 쏘기, 얼음골 계곡까지 올라가 스탬프를 찍고 돌아오면 농산물 꾸러미를 주는 경품행사, 계곡물 손발 담그기 체험, 작은 음악회, 떡메치기 체험, 해설사가 함께하는 허준 선생의 동의각 이야기, 청년농부 팜마켓, 먹거리 장터 등 무더위를 쫓고 얼음골을 알리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준비한다.

천연기념물 224호 얼음골은 '밀양의 신비'로 불린다.

한낮 35도를 훌쩍 넘는 바깥과는 전혀 다른 별세계다.

밀양 얼음골 냉랭한 축제 [밀양시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봄과 여름에 걸쳐 바위틈에 얼음이 생기고 찬 바람이 나온다.

겨울에는 반대로 얼음이 생겼던 바위틈에서 따뜻한 공기가 나와 계곡물이 얼지 않는다.

8월 들어 얼음은 사라졌지만, 바위틈 여름철 평균 온도가 0도에 가까울 정도로 냉기는 여전하다.

바위틈 냉기가 계곡에 퍼지고, 울창한 숲이 만들어 주는 그늘에 계곡을 따라 부는 산바람이 합쳐지면서 얼음골에 들어가면 에어컨을 튼 것처럼 차가운 기운이 충만하다.

한낮 얼음골에서 무더위를 잊고 즐겼다면 밤에는 밀양문화재야행이 시민, 관광객을 기다린다.

태풍 '카눈'으로 일주일 늦춰진 밀양문화재야행이 지난 18일 개막해 20일까지 이어진다.

해가 진 뒤 보물 147호 영남루와 밀양강을 주 무대로 임진왜란의 영웅 사명대사와 조선 전기 사림을 대표하는 유학자 점필재(佔畢齋) 김종직, 아랑 등 밀양이 낳은 인물을 테마로 다양한 볼거리가 늦여름 추억을 선사한다.

밀양문화재야행 포스터 [밀양시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seaman@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