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매립지 반입 폐기물 80%가 사업장 폐기물 차지
수도권매립지 반입 폐기물의 80.4%가 사업장 폐기물로, 생활 폐기물은 19.6%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됐다. 매립 폐기물 중 가연성 폐기물(2013년 기준)은 생활 폐기물에서 93.2%, 건설 폐기물에서 46.8%를 차지하는 등 재활용 가능한 폐기물이 다수 포함된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연구원 이정임 선임연구원은 19일 ‘수도권매립지 이슈와 시사점’ 연구보고서에서 “1992년 폐기물 반입을 시작한 수도권매립지 규모는 1541만㎡로 세계 최대 규모이며 전국 매립장 면적의 53%에 달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폐기물 반입량(2014년 기준)은 336만t으로 서울시 48%(161만t), 경기도 34%(114만t), 인천시 18%(61만t) 순이었다. 1인당 폐기물 반입량은 인천시(인구 290만명) 210㎏, 서울시(인구 1010만명) 160㎏, 경기도(인구 1235만명) 92㎏ 순이다.
매립지 반입 폐기물의 80.4%는 사업장 폐기물, 19.6%는 생활 폐기물이었다. 사업장 폐기물 중에서는 배출시설계 폐기물이 43.1%, 건설 폐기물이 35.3%, 사업장생활계 폐기물이 2%를 차지했다.
사업장 폐기물 비율이 높은 것은 2만~6만원 정도에 불과한 낮은 반입 수수료에서 기인한다. 이는 소각비용 10만~20만원, 재활용 처리비용 5만~10만원에 비해 저렴한 수준이다.이 연구위원은 “사업장 폐기물 매립 감소 방안을 수립하고 감량 및 재활용을 위한 정책 개발과 지속적인 목표 관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최인진 기자 ijchoi@kyunghyang.com>
Copyright©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하태경 “모두 속았다···김기현, 사퇴가 답”
- 이준석 “윤 대통령, 김건희 특검 막기 위해 당에 부탁?···방탄 프레임 걸리고 싶나”
- 소유 “임영웅과 열애? 고깃집에서 인사도 안 해”
- 2027년부터 경계작전부대 소위 연봉 4990만원…군 초급간부 봉급 최대 30% 올린다
- 임혜동 “술만 먹으면 폭행”···김하성 “사실 아냐, 추가 고소”
- 홍준표 “이재명 수사에 집착하는 검찰 정치, 바람직 않다”
- “청년정치 아닌 이준석…다음 대통령 될 가능성 높다”
- 바람 타고 연이 ‘두둥실’ 뜨니 전기차가 ‘완충’…어떻게?
- 유튜브도 구독료 올린다···월 1만4900원으로 43% 인상
- [영상]속옷차림 끌려가는 남성들…CNN “일부는 하마스 아닌 민간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