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매립지 반입 폐기물 80%가 사업장 폐기물 차지
수도권매립지 반입 폐기물의 80.4%가 사업장 폐기물로, 생활 폐기물은 19.6%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됐다. 매립 폐기물 중 가연성 폐기물(2013년 기준)은 생활 폐기물에서 93.2%, 건설 폐기물에서 46.8%를 차지하는 등 재활용 가능한 폐기물이 다수 포함된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연구원 이정임 선임연구원은 19일 ‘수도권매립지 이슈와 시사점’ 연구보고서에서 “1992년 폐기물 반입을 시작한 수도권매립지 규모는 1541만㎡로 세계 최대 규모이며 전국 매립장 면적의 53%에 달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폐기물 반입량(2014년 기준)은 336만t으로 서울시 48%(161만t), 경기도 34%(114만t), 인천시 18%(61만t) 순이었다. 1인당 폐기물 반입량은 인천시(인구 290만명) 210㎏, 서울시(인구 1010만명) 160㎏, 경기도(인구 1235만명) 92㎏ 순이다.
매립지 반입 폐기물의 80.4%는 사업장 폐기물, 19.6%는 생활 폐기물이었다. 사업장 폐기물 중에서는 배출시설계 폐기물이 43.1%, 건설 폐기물이 35.3%, 사업장생활계 폐기물이 2%를 차지했다.
사업장 폐기물 비율이 높은 것은 2만~6만원 정도에 불과한 낮은 반입 수수료에서 기인한다. 이는 소각비용 10만~20만원, 재활용 처리비용 5만~10만원에 비해 저렴한 수준이다.이 연구위원은 “사업장 폐기물 매립 감소 방안을 수립하고 감량 및 재활용을 위한 정책 개발과 지속적인 목표 관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최인진 기자 ijchoi@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속보]한동훈, 김의겸 제기 ‘청담동 술자리 의혹’ 손배소 2년8개월만에 일부 승소
- [속보]김건희 특검, 국민의힘 당사 압수수색···‘건진법사 게이트’ 관련
- 도로 건너다 차량 4대에 치여 숨진 50대···퇴근시간대, 아무 조처 없었다
- “요즘 핫한 김건희 목걸이” 문구 달고 6만원대에···온라인서 모조품 판매 활개
- [속보]교육 최교진·여가 원민경···이 대통령, 장관급 6명 내정
- 수도권에 ‘1시간 150㎜ 물폭탄’…긴급 대피·주택 침수·철도 운행 중단 ‘피해 속출’
- 6년간 피해온 수사망, ‘뒷배’ 남편 사라지자 김건희 구속
- [단독]국정기획위, 전작권 전환 “일체형과 병렬형 중 검토 필요”
- “승진 시켜줄게” 부하 직원 성추행한 정부 기관 팀장 ‘실형’
- 조경태·김예지는 했는데···내란 특검 참고인 조사 요청에 국힘 “야당 말살” 반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