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전국 주택가격 하락폭 축소…강남권 상승 영향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난달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발표 이후 강남권을 중심으로 서울 아파트값이 상승세로 돌아선 영향으로 전국 주택 가격이 하락폭이 축소했다.
특히 서울(0.04%→0.18%)이 전월보다 큰폭으로 상승을 확대한 가운데, 수도권(-0.06%→-0.01%)과 지방(-0.14%→-0.10%)은 하락폭은 소폭 축소했지만 하락세는 지속됐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전세는 하락폭 축소·월세는 상승폭 유지
[이데일리 박지애 기자] 지난달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발표 이후 강남권을 중심으로 서울 아파트값이 상승세로 돌아선 영향으로 전국 주택 가격이 하락폭이 축소했다.
다만 수도권과 지방 모두 하락세가 지속하는 가운데 서울만 상승폭이 확대하며 지역 간 격차가 더 벌이지는 양상이다.
특히 서울(0.04%→0.18%)이 전월보다 큰폭으로 상승을 확대한 가운데, 수도권(-0.06%→-0.01%)과 지방(-0.14%→-0.10%)은 하락폭은 소폭 축소했지만 하락세는 지속됐다. 특히 수도권에서도 경기도 과천 등 일단은 강남과 인접한 지역을 위주로 상승세 확산하는 분위기다.
서울 자치구별로 보면 지난달 토허제 해제 영향으로 송파·서초·강남구 위주로 상승폭이 확대했다.
송파구(0.94%)는 잠실·신천동 주요단지 위주로, 서초구(0.74%)는 잠원·서초동 위주로, 강남구(0.68%)는 대치·청담동 위주로 상승했다. 반면 노원구(-0.07%)는 상계·중계동 위주로, 도봉구(-0.04%)는 방학·창동 구축 위주로 하락했다.
수도권의 경우 경기(-0.10%)는 과천시·용인 수지구는 상승, 광명·평택·김포시에서 하락하며 하락폭 확대했으며 인천(-0.20%)은 연수·계양·서구 위주로 하락세가 지속됐다.
한국부동산원은 “서울·수도권에서 국지적으로 가격상승 기대감을 보이는 지역과 낮은 선호도로 매수자 우위인 지역이 혼재하고 있다”며 “지방은 지역별 공급 과다·과소 영향이 상이하게 관측되는 등 전국 하락폭 축소됐다”고 분석했다.
주택 유형별로 아파트는 전국 평균 0.09% 하락한 가운데 서울(0.24%)에서만 상승했다. 수도권에선 0.03% 하락, 지방은 0.15% 하락했다.
연립수택도 서울(0.10%)만 상승한 가운데 수도권(-0.01%), 지방(-0.09%)은 하락세를 이어갔다. 단독주택의 경우 전국적으로 상승세를 이어간 가운데 서울(0.18%), 수도권(0.14%), 지방(0.04%)를 기록했다.
지난달 전국 주택 전셋값은 0.01% 내려 전월(0.02%) 대비 하락폭이 축소했다.
수도권(-0.02%→0.01%)은 하락에서 상승 전환, 서울(0.00%→0.06%)은 보합에서 상승 전환, 지방(-0.02%→-0.02%)은 하락폭 유지됐다.
월세는 전국적으로 0.08%로 전월와 같은 상승폭이 유지됐다. 이외 수도권(0.13%→0.13%)은 상승폭 유지, 서울(0.10%→0.12%)은 상승폭 확대, 지방(0.04%→0.04%)은 상승폭 유지됐다.
부동산원은 “지난달 전국 주택의 전·월세는 역세권, 학군지 등 선호단지 위주로 상승세를 보이나, 구축, 외곽지역 등은 선호도 하락하는 모습을 보이는 가운데, 전세는 하락폭 축소, 월세는 상승폭 유지중”이라고 전했다.
박지애 (pjaa@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재명 "연금 합의했더니 또 조건? 국민의힘, 장난하나"
- 이시영, 8년 만 파경 "이혼 절차 진행 중"[공식]
- "내 여친 성희롱했지?"...중학생 둘 끌고간 교사, 경찰 수사
- 살인 후 훔친 돈으로 로또 산 김명현…5월 항소심 시작
- ‘숨진 딸’ 이불로 덮어두고 아빠는 태연히 짜장면을 먹었다[그해 오늘]
- “이러니 애 안낳지”…외신, 한국 ‘7세 고시 열풍’ 소개
- 이재용, '독한 삼성인' 화두 던졌다…위기 정면돌파 천명(종합)
- "3억 떨어졌어요" 아파트 '불장'인데, 여긴 왜?
- "21일까지 尹 파면 결정해야 나라가 산다"...남은 변수는?
- ‘尹 탄핵 심판’ 정국 속 민주당 44.3% vs 국힘 39%[리얼미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