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급매 소화로 집값 하락폭 줄고 거래 늘자 다시 고개 든 부동산 시장 바닥론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경기 침체와 금리 인상 영향으로 지난해 하반기 본격적인 하락세에 접어들었던 주택 시장에 최근 들어 '집값 바닥론'이 고개를 들고 있다.
거래량이 늘고 매매가격 내림 폭도 축소되면서 집값이 다시 반등할지 관심이 모인다.
집값은 매주 하락세긴 하지만, 낙폭은 올해 들어 축소됐다.
2월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1658건(7일 기준)으로, 집값 상승기가 유지됐던 지난해 5월 수준까지 회복됐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경기 침체와 금리 인상 영향으로 지난해 하반기 본격적인 하락세에 접어들었던 주택 시장에 최근 들어 '집값 바닥론'이 고개를 들고 있다. 거래량이 늘고 매매가격 내림 폭도 축소되면서 집값이 다시 반등할지 관심이 모인다.
8일 뉴스1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2023년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 누적 변동률은 -4.01%(2월27일 기준)로 집계됐다.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지수 변동률은 지난해 5월 둘째주부터 43주 연속 마이너스였다.
집값은 금리 인상에 가장 큰 타격을 입었다. 미국은 지난해부터 공격적으로 금리를 인상해 지난 2월까지 기준금리를 연 4.75%까지 올렸다. 2007년 이후 16년 만에 최고치다. 이에 발맞춰 우리나라 기준금리도 3.50%까지 상승했다.
고금리로 대출 이자 부담이 커지고, 급등 피로감과 경기침체 우려까지 겹치며 수요가 급감했다. 전국 아파트매매수급지수는 상승기였던 2021년 2월8일 115.0까지 올랐지만, 지난 2월27일에는 74.0까지 떨어졌다. 지난 1월 전국 주택 거래는 평년의 30% 수준까지 급감했다.
하지만 정부가 규제 완화 카드를 들고 나오면서 시장 분위기가 일부 바뀌었다. 1·3 대책으로 대출·세제·청약·전매 제한·실거주 의무 등 부동산 전 분야에 걸친 규제를 풀었다. 다주택자에 대한 종합부동산세 중과를 폐지하고, 취득세도 대폭 줄이기로 했다.
시장에선 기대감이 번지는 모습이다. 집값은 매주 하락세긴 하지만, 낙폭은 올해 들어 축소됐다. 내림 폭이 꾸준히 확대됐던 지난해 하반기와 달리 올해는 2월 첫째주를 제외하곤 매주 하락 폭을 좁혀가고 있다. 1월 첫째주 -0.65%였던 아파트값 하락 폭은 약 두달 만에 -0.34%로 축소됐다.
우리나라 부동산 시장 바로미터로 불리는 서울도 비슷한 흐름을 보였다. 같은 기간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3.08% 떨어졌지만, 내림세는 완만해졌다. 2월 넷째주(27일 기준·-0.24%)에는 주간 기준 최소 낙폭을 기록했다.
서울을 중심으로 거래량도 늘었다. 2월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1658건(7일 기준)으로, 집값 상승기가 유지됐던 지난해 5월 수준까지 회복됐다. 단지별로 살펴봐도 거래 건수가 대폭 늘었다. 같은달 서울 송파구 가락동 소재 ‘헬리오시티’의 거래량은 36건으로 12월(16건) 대비 2배 이상 늘었다.
시장이 회복세를 보이면서 일각에서는 집값이 바닥을 찍었고 올해 내로 반등하리라는 예상까지 나왔다.
배세호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이달 초 보고서를 통해 "부동산 지표의 부진은 여전하지만 최악의 국면은 지났고, 주간 아파트 가격 지수의 전주 대비 변동률은 빠르면 3월 내 플러스 전환도 가능하다고 판단한다"고 했다.
다만 속단이라는 목소리가 더 우세하다. 거래량이 회복됐다지만 고점(2020년 6월·1만5623건) 대비 10분의 1 수준이라 적극성이 부족하고, 추가 금리 인상 가능성과 경기 침체 우려도 여전한 탓이다. 다만 규제 완화 기조가 지속되면서 하락폭 축소에는 일정 부분 영향을 줄 것이라고 전문가들은 예상했다
유선종 건국대 부동산학과 교수는 "2020~21년 주택가격의 급등에 대한 부담으로 가격 조정은 불가피하다"면서도 "과거의 강력한 금융규제 및 최근 규제완화 정책 기조, 분양물량 축소 가능성 등 감안하면 급락 가능성은 제한적"이라고 말했다.
김현주 기자 hjk@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그냥 못 보겠다”…백종원, ‘90도 사과’ 뒤 곧장 달려간 이곳
- “보기 싫어!” 이재명 얼굴 친 이재민…지지자들, 기부 ‘취소’ 행렬
- 아빠 유전자 5% + 엄마 미모 몰빵…개그맨 오지헌 딸들 ‘믿기지 않는 외모’
- 전남편 15억 빚 갚는 중…61세 박해미 세 번째 결혼? 상대 누군가 했더니
- 방송서 속옷까지 벗었다... “정자 1억 개” ‘54세’ 男개그맨 정체
- “요즘 女공무원 너무 많아…산불 투입 어렵지” 울산시장 발언 논란
- "남자한테 참 안 좋은데~"… 우리도 모르게 섭취하고 있는 '이것' [수민이가 궁금해요]
- 사랑 나눈 후 바로 이불 빨래…여친 결벽증 때문에 고민이라는 남성의 사연
- "오피스 남편이 어때서"…男동료와 술·영화 즐긴 아내 '당당'
- 예비신랑과 성관계 2번 만에 성병 감염…“지금도 손이 떨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