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형욱 장관 "매물 느는데 거래량 줄어..주택시장 안정 징후"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노형욱 국토교통부 장관이 "공급을 늘리기 위한 정부의 노력과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 가계부채 관리 강화가 종합적으로 작용하면서 매물은 느는데 거래량은 줄어들고 있다"며 "주택시장 안정 징후로 이해하고 있다"고 말했다.
노 장관은 4일 국회 국토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주택시장이 안정세로 접어드는 것 같다'는 홍기원 더불어민주당 의원 질의에 이 같이 답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노형욱 국토교통부 장관이 "공급을 늘리기 위한 정부의 노력과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 가계부채 관리 강화가 종합적으로 작용하면서 매물은 느는데 거래량은 줄어들고 있다"며 "주택시장 안정 징후로 이해하고 있다"고 말했다.
노 장관은 4일 국회 국토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주택시장이 안정세로 접어드는 것 같다'는 홍기원 더불어민주당 의원 질의에 이 같이 답했다.
홍 의원은 "한국부동산원 주간동향 조사에 따르면 전국주택 가격이 12주 연속 상승폭 둔화하고, 지난해 아파트 거래량이 4만건으로 2012년 이후 9년만에 최저치로 떨어졌다"며 "매매수급지수도 전국적으로 기준선이 100이하로 (내려가) 전국이 매수자 우위 시장의 안정세로 접어든 것 같다"고 말했다.
노 장관은 "지난해 3만2000가구를 공급했고 올해 7만가구를 추가로 하면 46만가구 이상 될 것"이라며 "최소한 시중에 주택 물량이 적어서 집값이 오른다는 말이 나오지 않도록 주택 공급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앞서 노 장관은 올해 신년사를 통해서도 "다행히 그간의 공급확대 노력과 함께 금리인상, 가계부채 관리 등의 거시경제 변화가 더해져 대부분의 시장지표가 주택시장의 안정세를 나타내고 있다"고 설명한 바 있다.
하지만 이날 야당은 정부의 부동산 대책이 미비하다며 목소리를 높였다.
송언석 국민의힘 의원은 "공급을 많이 확대해야 하는 게 기본인데 여전히 정부는 공급 확대 부분에서 소홀하다"며 "올해 서울, 경기 입주 물량이 줄었는데 이는 하방 압력이냐, 상승 압력이냐"고 지적했다.
이에 노 장관은 "2021년에 비해 서울 지역 아파트가 조금은 줄어들지만 적은 물량은 아니다"며 "서울 아파트와 일반주택을 합친 전체 규모는 작년보다 는다"고 답했다.
문제원 기자 nest2639@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갑자기 몸이 가려워"…발칵 뒤집힌 대학 기숙사 무슨 일? - 아시아경제
- '군면제' 대선주자 이재명·김경수·김문수…사유 살펴보니[대선주자와 병역][AK라디오] - 아시아
- "입에서 입으로 '러브샷 강요'"…대학 신입생 MT서 무슨 일이 - 아시아경제
- 팬·지인에 3700만원 빌리고 안갚아…'사기혐의' 티아라 아름 1심 유죄 - 아시아경제
- 전 대통령 부부 모두 15년 선고 받더니…남편은 수감 vs 아내는 망명 - 아시아경제
- "한 잔 420만원인데 없어서 못팔아요"…출시 직후 난리난 양주 - 아시아경제
- "그 약은 저희 약국엔 없어요"…'절대파워' 공룡 도매상이 삼켜버린 시장경쟁[의약품 유통시장의
- "21년간 기아만 다녔다"…이직열풍·희망퇴직 칼바람에도 '그래도 대기업' - 아시아경제
- "대통령되면 보복의 칼?"…이재명 "제 인생 누굴 보복한 적 없어" - 아시아경제
- "하루 7만원 우스웠는데 2만원도 못벌어요"…관세폭탄에 中 노동자 절규 - 아시아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