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규제 완화 없다' 판단에 강남권 재건축 아파트 급매물 속출
[경향신문] ㆍ총선 여당 압승 따라 분양가 상한제·보유세 등 ‘고삐’ 움직임
ㆍ연초보다 1억~2억 낮춰…고가의 일반 아파트들도 호가 ‘뚝’
여당의 총선 압승 이후 주택규제 완화 가능성이 사라지면서 강남권 재건축 단지를 중심으로 가격을 연초 대비 많게는 1억~2억원가량 낮춘 급매물이 속속 등장하고 있다. 정부·여당이 상반기 내 다주택자의 보유세 인상을 목표로 한 법률 개정에 속도를 내고 있고, 6월 말로 정해진 양도세 중과면제 기한도 다가오고 있어 당분간 호가를 낮춘 매물이 주를 이룰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19일 부동산114 등에 게시된 강남권 주요 재건축 단지의 매물 정보를 보면 4·15 총선 이후 호가를 낮춘 물량이 눈에 띈다. 지난 2월 22억3000만원에 거래됐던 서울 압구정동 현대3차아파트 전용 82.5㎡ 중층은 지난 17일 기준 19억8000만원에 매물이 나왔다. 2억원 이상 호가가 떨어진 가격이다. 압구정 현대3차는 지난해 12·16 부동산대책이 나오기 전 24억원까지 매매가가 올랐다가 연초 들어 21억원까지 급락한 뒤 회복세를 타던 곳이다.
올 2월 21억8000만원에 거래됐던 서울 대치동 은마아파트 전용 84㎡ 중층의 경우 지난 17일 기준 20억1000만원에 매물이 등장했다. 이곳은 지난 1월 22억5000만원의 거래 상한가를 기록한 뒤 꾸준히 21억원대 중후반 선에서 거래가 이뤄져왔다. 같은 대치동의 쌍용1차아파트 전용 141.21㎡ 저층의 경우 올 2월 25억1000만원에 거래됐지만 총선 직후 24억5000만원으로 호가를 낮춘 매물이 나왔다.
서초구, 송파구의 주요 재건축 아파트도 총선 이후 호가를 낮춘 물량이 등장하고 있다. 송파구 잠실5단지 전용 76.49㎡ 중층은 지난달 20억3500만원에 거래됐지만 총선이 끝난 뒤 18억5000만원에 매물이 나왔다. 서초구 주공1단지 전용 72.51㎡ 저층도 올 2월 21억5000만원에 거래됐지만 총선 후 21억원으로 가격을 내린 매물이 나왔다.
부동산 업계는 총선 결과에 따라 매도 여부를 결정하려던 소유주들이 집을 내놓기 시작한 것으로 풀이하고 있다. 정부가 오는 7월부터 민간 시장 확대를 예고한 ‘분양가 상한제’의 경우 미래통합당이 “반시장적 규제”라며 반대해왔다. 야당이 총선에서 선전했다면 재논의 가능성도 있었지만 여당의 압승으로 규제완화 가능성이 사라졌다. 건설업계는 최근 코로나19 사태 등을 들어 분양가 상한제의 7월 적용을 유예해달라고 건의했지만 정부는 이를 일축한 것으로 알려졌다. 여당의 압승으로 상반기 내 다주택자를 대상으로 한 종합부동산세, 양도소득세 등 보유세 관련 세법 개정에도 ‘청신호’가 켜진 상태다.
서울 잠실의 한 공인중개사 대표는 “총선 결과를 기다리던 집주인들이 6월 양도세 중과 면제 기한에 맞추기 위해 급매물을 계속 내놓을 것으로 전망된다”며 “작년부터 전세가도 꾸준히 오르고 있는데, 정부와 여당이 ‘전·월세 상한제’와 같은 추가 규제책을 마련할 경우 매도심리가 더 확대될 것”이라고 밝혔다.
고가의 일반 아파트 단지들도 총선 이후 가격을 낮추는 움직임이 이어지고 있다. 송파구 잠실 엘스, 리센츠 등은 올 2월 대비 가격을 2000만~5000만원가량 낮춘 매물들이 등장했다. 서초구 반포 아크로리버파크 전용 59.98㎡ 고층은 작년 12월 23억5000만원까지 거래됐지만 총선 이후 22억8000만원에 매물이 나왔다.
송진식 기자 truejs@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집값 향방, 총선 결과보다 코로나19 추이를 보자
- [단독]“미스 가락시장” 김문수, 김정숙 여사 사진 보며 외모 평가도
- “사과 한 마디 없이···” 윤석열 ‘대선 앞 늑장 탈당’에 국힘서도 비판
- 5·18 기념식에 ‘총 든 요원’, 유가족은 뒷줄에···정부 주관 행사의 주객전도
- 이재명·이준석·권영국 간 5·18 기념식, 주요 대선 후보 중 김문수만 불참한 이유는?
- 김혜경, ‘법카 10만4000원에 벌금 150만원’ 항소심 판결에 상고
- 개헌 꺼내든 이재명…“대통령 4년 연임·결선투표·책임총리제 하자”
- “문화유산 모욕”…그리스, ‘아크로폴리스 드론쇼’ 아디다스에 법적 대응
- 피해 입증 어려운 ‘SKT 해킹’ 소송···‘징벌적 손해배상’ 논의 재점화
- “나는 계몽됐다” 김계리, 국민의힘 입당 신청···“지금은 김문수의 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