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도세 폭탄 피하려.. 아파트 증여 급증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문재인 정부의 부자(富者) 증세 여파로 자산가들 사이에 자녀에게 미리 재산을 물려주는 증여가 크게 늘었다.
KEB 하나은행 상속증여센터 이상혁 세무자문위원은 "세금 폭탄을 맞느니 배우자나 자녀에게 미리 주겠다는 자산가가 지난해 부쩍 늘었다"며 "선대로부터 재산을 물려받을 때 상속세 폭탄을 경험한 2세대 자산가들이 자녀에게 미리 재산을 물려주려는 경향도 강해졌다"고 말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작년 세수 총 255兆 사상 최대
문재인 정부의 부자(富者) 증세 여파로 자산가들 사이에 자녀에게 미리 재산을 물려주는 증여가 크게 늘었다. 특히 지난해 8·2 부동산 대책 이후 양도세 중과(重課)를 피하기 위한 아파트 증여가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국세청이 발표한 '2018년 국세 통계 연보' 조기 공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증여세 신고 건수는 12만8454건, 재산 가액은 23조3444억원으로 전년도보다 각각 10.6%, 28.2% 늘었다. 이에 따라 국세청이 부과한 증여세액은 1년 전보다 46% 증가한 3조9758억원에 달했다. 1인당 평균 증여 재산은 1억8173만원이며, 평균 증여세 납부액은 3096만원으로 전년도보다 31% 증가했다.
올해 4월 1일부터 시작된 양도세 중과를 앞두고 부동산을 자녀에게 미리 증여해 절세하려는 사람이 많았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지난해 증여를 원인으로 한 아파트 거래는 4만7652건으로 전년보다 16% 늘었다.
KEB 하나은행 상속증여센터 이상혁 세무자문위원은 "세금 폭탄을 맞느니 배우자나 자녀에게 미리 주겠다는 자산가가 지난해 부쩍 늘었다"며 "선대로부터 재산을 물려받을 때 상속세 폭탄을 경험한 2세대 자산가들이 자녀에게 미리 재산을 물려주려는 경향도 강해졌다"고 말했다.
증여세와 함께 상속세 신고도 늘었다. 지난해 피상속인은 6970명, 상속 재산은 16조7110억원으로 전년보다 각각 12.1%, 14% 증가했다. 피상속인 1인당 평균 24억원의 재산을 상속한 셈이다.
이 밖에 소득세·법인세·부가가치세 등 모든 세목의 세수가 호조를 보이면서 지난해 국세청이 거둔 세수는 총 255조6000억원으로 사상 최대를 경신했다. 전년 대비 22조3000억원(9.5%) 증가한 규모다. 주요 세목 중 소득세가 전년보다 6조7000억원 증가한 76조8000억원으로 3년 연속 세수 1위를 차지했다. 부가세는 5조3000억원 증가한 67조1000억원, 법인세는 7조1000억원 증가한 59조2000억원이 각각 걷혔다.
- Copyrights ⓒ 조선비즈 & ChosunBiz.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더불어민주당 새 당대표에 정청래…득표율 61.74%(종합)
- [김지수의 인터스텔라] ‘나는 북경의 택배 기사입니다’ 전 세계 뒤흔든 중국 청년의 N잡 르포
- [뉴테크] 류마티스 관절염, 전자약으로 치료한다
- 작년엔 남아돌던 전기차 보조금, 올해는 속속 소진
- 수익률 처참했던 베트남펀드… ‘빈 그룹’ 담아 기사회생
- ‘숏폼’ 출시하는 웹툰업계… “짧고 자극적 형식, 웹툰 고유 서사 훼손될까” 우려도
- 정부 설명과 다른 백악관의 논평에 커지는 통상 협상 논란… “FTA 이점 못 지켰다” 비판도 계속
- 美 15% 관세로 日 혼다·스바루와 경쟁 어려워진 한국GM
- 검체 뒤바뀌어 유방 절제…녹십자의료재단 1개월 인증 취소
- [단독] 삼성전자, 평택 파운드리 가동률 ‘최대치’…성숙 공정서 잇단 추가 수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