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참 "전 계엄사령부 압수수색 미실시…추가 협의할 것"(종합)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합동참모본부는 국가수사본부 비상계엄 특별수사단의 전 계엄사령부에 대한 압수수색은 11일 실시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합참은 압수수색과 관련해 추가로 협의한다는 입장이다.
경찰청 국가수사본부 비상계엄 특별수사단은 이날 오후 서울 용산구 합참 청사에 도착해 압수수색을 시도했다.
앞서 합참은 이날 오후 3시 40분 기준 국수본 압수수색팀은 본청에 들어오지 않았다며 "이번 압수수색은 전 계엄사령부가 사용했던 시설 및 장비가 대상으로 합참에 대한 압수수색이 아니다"라고 밝혔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합동참모본부는 국가수사본부 비상계엄 특별수사단의 전 계엄사령부에 대한 압수수색은 11일 실시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합참은 압수수색과 관련해 추가로 협의한다는 입장이다. 합참은 "군은 압수수색에 적극 협조하고 있다"고 전했다.
경찰청 국가수사본부 비상계엄 특별수사단은 이날 오후 서울 용산구 합참 청사에 도착해 압수수색을 시도했다. 하지만 압수수색 집행 마감시간인 일몰까지 대치상황이 이어지며 압수수색은 불발된 것으로 관측된다.
앞서 합참은 이날 오후 3시 40분 기준 국수본 압수수색팀은 본청에 들어오지 않았다며 "이번 압수수색은 전 계엄사령부가 사용했던 시설 및 장비가 대상으로 합참에 대한 압수수색이 아니다"라고 밝혔다.
경찰 특수단은 이날 오전 11시 48분쯤부터 대통령실에 대한 압수수색을 시도했지만 경호처와 협의가 지연되면서 대치 상황이 이어지기도 했다.
이와 관련해 경찰 특수단 관계자는 "대통령실과 협의는 아직 결론이 나지 않았다"고 말했다.
압수수색을 위해 투입된 경찰 인력은 18명이며, 대상은 국무회의 개최 장소, 대통령 집무실, 비서실, 경호처 등 4개 장소로 알려졌다.
wangjylee@fnnews.com 이종윤 기자
Copyright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총각파티였어"…결혼 준비 중 전 여친과 잠자리한 남편
- 김수현, 사생활 폭로 또 나왔다 "아이돌 출신 여배우 사귀며 김새론에 편지 쓰고 집 초대?"
- "속옷도 없이"…클라라, 마사지 중 드러난 뒤태 '아슬아슬'
- 김혜은 "가부장적 치과의사 남편, 8차선 대로변서 무릎 꿇으라고"
- '아들과 산책' 홍상수·김민희, 옆 중년 여성 누구?
- 강릉 사천면 농수로서 50대 여성 숨진 채 발견
- 이영애 "70대 남편과 매일 키스…입금되면 다이어트"
- 김종인 "尹과 절연해야…한동훈만이 민주당 이길 후보"
- "드럼통 열었더니 사람 발이"…日 여성 시신 유기사건
- 이철규 국힘 의원 며느리도 대마 양성…아들은 구속기로